(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와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가 만성질환을 비롯한 난치성 질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한의 기술과 디지털 등 첨단과학을 융합하는 '한의 디지털 융합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두 부처는 이를위해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5년 동안 1개 총괄과제와 34개 개별과제 등 35개과제에 총 440억원을 투자, 기초‧원천 핵심기술 개발부터 응용‧임상연구까지 전주기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처럼 한의학에 첨단과학을 결합해 혁신을 꾀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선 총괄과제에는 46억3000만원을 투입해 기초‧원천연구 및 응용‧임상연구 분야에서 수행하는 34개 개별 연구과제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연계‧지원한다. 융합한의학 연구 데이터를 수집해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K-BDS) 등을 통해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K-BDS는 범부처 바이오 연구개발 데이터의 통합 수집, 공유, 활용, 확산을 위한 바이오 데이터 공유 허브다.

8개 기초‧원천기술 분야에는 180억원을 투입한다. 한의학 기초이론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연구를 통해 창출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융합한의학 기초기술개발 과제 4개와 한의기술과 최신 바이오‧ICT 기술과의 융합연구를 통해 새로운 융합 한약‧의료기기의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융합한의학 원천기술개발 과제 4개를 추진한다.

응용‧임상연구 분야에는 26개 과제에 213억8000만원을 배정했다. 한의약과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및 디지털 치료제 등을 개발하는 ‘한의약 바이오디지털 융합헬스케어 기술개발' 과제 15개와 한약 안전사용을 위한 신속감별 기술 및 한약 유효성·안전성 평가 신기술 등을 개발하는 ‘한약 안전 사용 플랫폼 및 융합기술개발 과제' 11개를 진행한다.

총괄과제와 세부 분야별 연구과제는 18일 두 부처 및 한국연구재단과 보건의료연구개발포털 홈페이지에 1차 공고를 낼 예정이다. 기초‧원천기술 분야 8개 과제는 사업추진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공고를 진행한다.

이번 사업으로 한의학의 과학화와 표준화 및 산업화에 큰 진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약물 부작용 최소화와 난치성 질환에 대한 근본적 해결 메커니즘 모색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구혁채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한의학은 오랜 기간동안 경험적으로 그 유효성을 인정받아온 전통과학기술로 첨단과학기술과의 융합으로 바이오‧의료산업의 신수요, 신시장 창출이 가능한 분야"라며 "융합 한의 기술이 우리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이 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함께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