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략기술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 2025년까지 총 25조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또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사회 문제 등을 해결하는 '전 국민 AI 일상 프로젝트'를 내년부터 실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업무계획을 발표, 3대 추진전략과 8대 핵심과제를 본격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3대 추진전략은 ▲전략기술과 미래산업 육성 ▲디지털 전면 확산 ▲인재‧지역적 기반 확보 등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실천하기 위한 8대 전략 중 우선 내년도 전략기술 R&D 투자를 전년 대비 10% 이상 확대해 2027년까지 25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재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기존의 부처별 체계에서 벗어나 '범부처 통합형 R&D 재원 배분 체계'로 전환한다고 전했다.
또 민관 합동 R&D 프로젝트 8개를 선정‧추진하고, 과기자문회의내 전략기술 특위를 내년 2월 출범해 민간 협업 거버넌스를 지속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생활 전 부문에서 디지털 일상화를 추진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민생‧사회 문제 해결은 물론 농어업, 제조, 서비스 등 전 분야에 걸쳐 AI를 접목한다. 또 전 국민의 디지털 체질 개선을 위해 누구나 쉽게 배우는 온라인 AI‧SW 교육을 제공하고 초중등 정보 교육 2배 확대,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배움터 활성화(1000개) 등을 추진한다.
더불어 2023년 428억원을 투입, 세계 최고의 AI 반도체 기술 확보 및 한국형 클라우드 모델의 해외 진출을 돕는 'K-클라우드 프로젝트'도 진행한다. 공공‧민간 공동 활용 초거대 AI 인프라 구축(121억원)과 국민체감 선도 프로젝트(90억원)도 포함했다.
이 밖에도 과기정통부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2023~2032년 2조132억원), 우주항공청 설립 특별법 제정, 우주 부품‧기술 개발 로드맵 마련(2023년) 등 '우주경제 가동'과 ▲양자, 첨단바이오, 탄소중립, 6G, 메타버스‧블록체인 핵심기술 중점 육성 ▲글로벌 신질서가 될 디지털 법제 마련 ▲디지털 재난 대응체계 상시화 및 디지털서비스안전법 제정 추진 ▲신속‧탄력적 인재 양성과 장기지원 및 해외 인재 유치 ▲지역의 과학기술‧디지털 거점 조성 및 지역의 R&D‧디지털 혁신 추진 등을 핵심과제로 소개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코로나 위기가 가져온 기술대변혁의 시대에는 어느 국가가 과학기술과 디지털을 신속하고 실효적으로 발전시키는지에 따라 국가경쟁력이 좌우될 것”이라며 “과기정통부는 미래를 설계하는 부처로서 2023년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디지털 모범국가 실현을 통해 대한민국의 도약을 이끌 것”이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국가 R&D 예산 30조원 돌파...AI·반도체·양자기술 분야 대폭 증액
- "국가전략기술 확보 위해 대형 민관 프로젝트 추진"
- 과기정통부, '통합 데이터지도'에 민간 4개 플랫폼 데이터 추가
- "중소기업 돕는 AI컴퓨팅·솔루션 플랫폼 적극 지원"
- 산업부, 차세대 지능형반도체 R&D에 올해 743억 지원
- '대표 연구소 대학' 만들어 국가전략기술 집중 육성한다
- 난치질환 해결에 한의 기술과 첨단과학 융합 지원
- 정부, 차세대 AI 개발에 2600억 투입...'AI 10대 프로젝트' 추진
- 산업부, 반도체특성화대학원 모집...올해 3개 대학 선정
- 과기정통부, 디지털 신질서 로드맵 및 '디지털 권리장전' 하반기 발표
- 국가전략기술 특별위 출범...1차 회의서 K-UAM 등 프로젝트 4건 선정
- 과기정통부, 민관 협업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 도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