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과 인도 정부가 무기와 슈퍼컴퓨팅, 반도체 등 하이테크 분야에서 협력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31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미국이 기술개발 견제를 위해 중국을 고립시키는 대신 인도에 손을 내민 모양새다.

미국과 인도 간의 파트너십 체결은 워싱턴에서 양국 관리들과 미국 기술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틀간 열린 고위급 회담에서 이뤄졌다. 이 회담은 지난해 5월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일본 도쿄에서 핵심 기술에 대해 협의하기로 약속한 뒤 처음 열린 것이다.

제이크 설리반 미 국가안보 고문은 2016년 핵무기 협정 이후 양국 관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기술 파트너십 체결이 이번 회담의 목표였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 간 파트너십이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들을 추진하는 데 초석이 될 것"이라고 평했다.

이날 발표된 파트너십에는 인공지능(AI)과 첨단 무선기술 등에서 양국 국립과학연구기관이 협력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또 제트엔진과 포병, 장갑 보병 차량 등 방위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하며, 인도의 고품질 모바일 네트워크 구축과 반도체 생산에 대해 상호 협력한다는 내용도 들어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바이든 행정부가 우호적인 국가들로 제조업의 핵심 요소들을 이전하는 ‘프렌드쇼어링(우방 중심 협력)’ 전략의 실현 가능성을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NYT는 논평했다. 

(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바이든 정부는 그동안 반도체와 통신, 기타 주요 제품군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은 데 대해 우려를 표명해왔다. 미국 기업들도 공급망을 중국 밖으로 이전하는데 필요한 공간이나 인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도에는 고도로 숙련된 인력과 국제 투자 유치에 적극적인 정부가 있지만, 현지에서 사업을 하려는 기업들은 지나친 규제와 열악한 인프라, 기타 장벽 등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NYT는 인도가 더 많은 외국 제조 회사를 유치하기 위해선 사업 허가와 세금 관련 시스템을 개혁해야 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말을 전했다. 미국도 첨단무기 생산을 위해 인도와 협력하려면 국방 관련 기술을 외부로 이전하는 데 대한 규제를 개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도는 또 러시아의 군사 장비를 자주 구매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에도 불구하고 원유를 수입하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미국의 접근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 측은 "새 파트너십이 인도에게  이익을 가져다줘 러시아로부터 멀어지게 할 것으로 믿는다"고 NYT에 말했다.

탄비 마단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 연구원은 미국과 인도의 파트너십 형성에 대해 "미국의 민간 기업들이 결국 인도와의 협력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기업들은 국가 전략이 아닌 사업성 측면에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병일 위원 jbi@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