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2023년 친환경차, 자율차 기술개발을 위한 신규지원 대상과제에 대해서 통합공고를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총지원 예산은 지난해보다 647억원 증가된 4994억원이다. 분야별로는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 기술개발(2293억원), 자율주행 등 디지털 분야(1383억원), 기반구축·사업화 지원(1003억원), 인력양성(315억원) 등 4개 분야에 걸쳐 311개 과제를 추진한다.
친환경차 기술확보는 주행거리, 충전속도, 내구성 개선 등 전기·수소차 핵심기술 개발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함께 연비향상을 통한 내연기관 고도화 등 탄소중립 대응과 친환경차 산업생태계 강화에 나선다는 내용이다.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20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 4) 상용화를 목표로 센서, 카메라 등 자율주행 핵심부품 기술력 확보와 디지털전환(DX)을 위한 데이터 구축과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에 집중한다.
지역 부품업체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험평가장비를 구축하고 인증, 시제품제작, 해외마케팅, 이차보전 등 지원을 통해 중소부품업체의 기술개발 역량을 제고한다는 것이 기반구축 및 사업화 지원 내용이다.
더불어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등 미래차 혁신인재 확보를 위한 기업수요 중심의 인력양성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동일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글로벌 기업들의 내연차 생산중단 선언과 디지털 혁신 등으로 멀 것만 같았던 친환경, 자율주행 등 미래차 대중화 시기가 빠르게 당겨지는 추세”라며 “정부는 자동차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민간의 혁신을 저해하는 규제를 과감히 개선하고, 중소·중견부품업체에 대한 기술개발과 기업지원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신규과제에 대한 신청서 접수기간은 3월13일까지이며, 사업별로 산업기술 R&D 정보포털, KIAT 과제관리시스템,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접수를 진행한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