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서 LGU+ 기업서비스개발랩장(왼쪽)과 김재형 플라나 대표가 업무협약식을 마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U+)
전영서 LGU+ 기업서비스개발랩장(왼쪽)과 김재형 플라나 대표가 업무협약식을 마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U+)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국내 UAM(도심항공교통) 기체 스타트업 플라나(대표 김재형)와 통신 기반 UAM 데이터 전송 공동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플라나는 국내 유일 하이브리드 기반의 VTOL(수직이착륙) 전기 추진 항공기 개발 기업으로, 플라나 기체는 차세대 항공연료인 SAF를 이용해 기존 헬리콥터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을 80% 이상 저감하는 것이 특징이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UAM 교통관리 플랫폼과 기체 간의 데이터 전송 기술을 개발하고 ▲UAM 교통관리 플랫폼과 연동한 실증 운항 데이터를 공동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항공용 통신 기술을 실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확보하고, 항공 전자장비와 교통관리플랫폼 간 실시간 항적, 기체상태 및 기상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기술을 연구 및 개발해 나갈 방침이다.

또 UAM 교통관리 플랫폼을 활용해 교통 관리나 충돌 회피 등 관리 역량을 검증하는 동시에, 기체의 비행 데이터와 고고도 5G·LTE 커버리지 데이터 등 실증 운항 데이터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LGU+는 데이터 전송 기술을 개발하고 기체 데이터를 확보, 정부 실증사업인 ‘K-UAM 그랜드챌린지’ 참여에 앞서 개발 중인 UAM 교통관리 플랫폼의 완성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전영서 LGU+ 담당은 “국내 유일의 장거리 하이브리드 기반 수직 이착륙기를 개발하는 플라나와의 협력은 UAM 생태계 발전에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기존 항공기에서 볼 수 없었던 통신을 UAM 기체에 접목함으로써 운항 안전성과 고객 편리성 모두 극대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형 플라나 대표는 “2028년 상용화가 목표인 수직이착륙 전기 추진 항공기 개발에 이번 공동 연구가 큰 의의가 있는 마일스톤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LGU+는 지난해 5월 카카오모빌리티와 GS건설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정부 실증사업인 K-UAM 그랜드챌린지에 참여하고 있다. 이어 7월에는 부산광역시와 UAM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올 1월에는 서울교통공사와 복합 환승 센터 조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