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카카오모빌리티, GS건설, 파블로항공과 구성한 UAM(도심항공교통) 컨소시엄 ‘UAM 퓨처팀’이 23~25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3 드론쇼코리아’에서 전시관을 공동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드론쇼코리아는 부산시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국방부가 주최하고 벡스코, 한국무인기시스템협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드론 전시회다. 올해는 드론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산학연관 160여곳에서 6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한다.
UAM 퓨처팀은 총 320㎡(40부스) 규모의 전시 부스를 마련한다. 이는 참여 기업 중 최대 규모라며, 이를 통해 UAM 퓨처팀의 최신 기술을 선보이고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LGU+의 설명이다.
전시관은 ▲컨소시엄 공동관을 비롯해 ▲LGU+의 UAM 교통관리 플랫폼 ▲카카오모빌리티의 멀티모달 모빌리티 비전 ▲GS건설의 스마트 버티포트(수직 이착륙 비행장) 비전 ▲파블로항공의 UAM 통합운항관제시스템 및 드론배송 솔루션 등 5가지 공간으로 구성된다.
먼저 공동관에서는 대형 LED 패널을 통해 UAM 미래 비전과 청사진을 그리는 영상을 상영할 예정이다.
LGU+는 UAM 운항정보 공유 및 교통흐름 관리, 비행계획 승인 및 항로이탈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관리 플랫폼을 AR(증강현실) 형태로 전시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경로 탐색부터 UAM과 자율주행 차량 호출, 운항 및 교통관제 시스템과 플랫폼 간의 연동, 자동체크인까지의 전 과정을 시연한다. 또 UAM용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아르고스 에어’와 모빌리티 IVI(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도 체험할 수 있다.
GS건설은 수직 이착륙 인프라 시설인 버티포트를 구현한다. 자동 체크인과 보안검색 등 UAM 탑승 수속 과정을 경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상현실(VR) 체험도 함께 제공한다.
파블로항공은 UAM 통합운항관제시스템을 소개한다. 이는 UAM의 운항 전반에 걸친 위험 요인을 분석, 안전 운항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또 물류 드론 배송을 주제로 한 체험형 이벤트를 진행한다.
LGU+는 지난해 5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주최하는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해 7월에는 부산광역시와 UAM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올 1월에는 서울교통공사와 복합 환승 센터 조성을, 2월에는 UAM 기체 스타트업 플라나와 데이터 전송 기술 공동 개발 MOU를 맺었다.
전영서 LGU+ 기업서비스개발랩장은 “이번 드론쇼코리아에서 영역별 최고의 전문성을 가진 기업들과 함께 UAM 사업의 청사진을 선보이게 되어 의미가 깊다“며 “도심 항공 모빌리티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킬 미래 혁신 산업으로 꼽히는 만큼, 컨소시엄 협력사들과 함께 UAM 조기 상용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LGU+, 플라나와 UAM 데이터 전송 기술 공동 연구
- LGU+, 서울교통공사와 UAM 복합 환승 센터 조성한다
- 파블로항공-GS칼텍스, 주유소·충전소 활용 서비스망 구축
- LGU+, 토요타 RAV4 PHEV에 '통합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탑재
- 이통 3사 다음 격전지는 '도심항공교통'...나란히 컨소시엄 협약식 열어
- ‘드론을 통해 마주할 미래’...2023 드론쇼 코리아 개막
- 데이터 커머스 ‘U+콕’, 동영상 리뷰 서비스 론칭
- LGU+, 소상공인 특화 ‘우리가게패키지’ 전용 앱에 챗GPT 탑재
- 플라나, 日 스카이택시에 전기수직이착륙기 50대 공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