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쿠토 호조 스카이택시 대표(왼쪽)과 김재형 플라나 대표가 LOI 및 MOU 행사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플라나) 
타쿠토 호조 스카이택시 대표(왼쪽)과 김재형 플라나 대표가 LOI 및 MOU 행사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플라나) 

선진항공모빌리티(AAM) 개발사 플라나(대표 김재형)가 일본에 전기 수직이착륙 항공기(eVTOL) 50대를 공급한다.

플라나는 스카이택시와 현재 개발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eVTOL 'CP-01' 모델의 구매 의향서(LOI)를 작성함과 동시에 AAM 항공기 개발 및 운영에 관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eVTOL은 도심항공교통(UAM)에 사용하는 기체다.

이에 따라 플라나는 2030년 10대를 시작으로 2040년까지 추가 40대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또 양사는 AAM 항공기 개발과 운용 및 인테리어 디자인, 시장 분석, 실증 등 분야에서 협력을 진행한다. 향후 CP-01을 활용한 국가 간 AAM 항공 노선 개발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스카이택시는 일본 오사카 지역에서 100여년간 택시 회사를 운영한 다이호 택시 그룹이 지난해 ‘에어 택시’ 사업 진출을 위해 신설한 회사다. 현재 조종사 훈련, 기체 도입 및 운항 테스트 등을 진행 중이며, 2025년 오사카 엑스포에 맞춰 우메다 및 난바 등 오사카 도심과 일본 전역의 세계문화유산 및 관광지, 간사이 및 고베 공항 등을 연결하는 항공 노선을 준비 중이다.

추후 스카이택시는 eVTOL을 활용한 관광 산업에 초점을 맞춰 장거리 운항을 계획 중이다. 스카이택시는 플라나의 CP-01을 선택한 이유로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해 장거리를 운항할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타쿠토 호조 스카이택시 대표는 “이번 협업은 아시아를 기점으로 글로벌 AAM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아시아를 대표하는 AAM 업계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협업을 통한 비즈니스 개발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재형 플라나 대표는 “이번 의향서 체결 및 업무 협력을 통해, 일본이라는 거대한 잠재 시장을 개척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국가 간 이동까지도 바라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라며 “로드맵에 따라 항공기의 개발을 진행하고 국가별 시장의 특수성을 이해, 최적화한 활용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