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 작업표시줄에 빙 챗봇 검색을 탑재한 예 (사진=MS)
윈도 작업표시줄에 빙 챗봇 검색을 탑재한 예 (사진=MS)

마이크로소프트(MS)가 28일(현지시간) 블로그를 통해 '윈도11'의 주요 업데이트 내용을 공개하면서 '챗GPT'를 탑재한 새 검색엔진 '빙'을 결합한다고 발표했다.

구글에 빼앗긴 검색시장을 탈환하기 위해 챗GPT를 활용하는 동시에 PC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운영체계(OS)인 윈도와 결합해 상승효과를 끌어내려는 의도로 보인다.

파노스 파네이 MS 최고 제품 책임자는 "윈도 PC는 그 어느 때보다 우리 일상에 가까워졌으며, 이는 인공지능(AI) 도입이 이끄는 새로운 컴퓨팅 흐름에 따라 더욱 현실화되고 있다"면서 "새로운 AI 시대에 맞춰 발표되는 윈도11의 주요 업데이트는 사람들이 PC에서 작업하는 방식을 재창조하고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윈도는 MS 매출의 9%를 책임지고 있는 PC 운영체계다. 2021년 기준으로 전세계 PC의 82%를 점유하고 있다. 

MS는 지난 2021년 윈도11을 내놓으면서 '빙'을 탑재했다. 그러나 윈도11로 업그레이드하는 사용자가 18% 수준에 머물면서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이에 테스트를 위해 수백만명이 줄을 설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챗GPT를 탑재한 새로운 빙을 윈도11에 연결해 OS 업그레이드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같은 행보는 자칫 '끼워팔기 논란'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실제로 CNBC는 MS의 윈도11를 업그레이드 소식을 전하면서 재정적인 이득을 얻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에이미 후드 MS 재무 책임자도 "검색 광고 시장에서 얻는 수익의 1%포인트마다 20억달러의 추가 수익이 생긴다"고 언급했다. 현재 윈도에 검색창 이용자는 월 5억명 수준이다.

윈도 11에서 iOS용 '폰 링크'를 실행한 예 (사진=MS).
윈도 11에서 iOS용 '폰 링크'를 실행한 예 (사진=MS).

한편 MS는 빙을 윈도11에 탑재하면서 PC에서 아이폰을 통해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주고받을 수 있도로고 해주는 폰링크도 출시했다. 안드로이드 폰에는 이미 적용하고 있는 기능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