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준 ETRI 위원(ITU-T SG20 의장)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사물인터넷 분야 국제표준화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ETRI)
김형준 ETRI 위원(ITU-T SG20 의장)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사물인터넷 분야 국제표준화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이 국제표준화 부문에서 큰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ETRI는 지난해 국제표준제정 36건, 국제표준특허가 반영된 기고 21건 등의 국제 표준화 실적을 올렸으며, 국제표준화기구 의장석도 14석을 신규 확보한 것은 물론 국제표준특허도 60건을 추가해 누적 1077건을 보유하게 됐다고 16일 밝혔다.
 
ETRI는 대부분 국제회의가 비대면으로 전환된 상황을 감안해도 국내 기관 중 최고 수준의 국제표준화 실적이라고 자평했다.

특히 최근 확보한 국제표준특허 중 차세대 비디오 압축표준 분야 64건과 5G 이동통신 분야 48건 등 시장 수요가 큰 상용표준특허가 다수 포함, 향후 상당한 특허 기술료가 전망된다고 전했다.
 
아울러 국제표준화 주도권 확보를 위한 표준화 기구의 의장직 수임에서는 지난해 신규 의장직 14석 포함, 현재 67석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에는 사물인터넷(IoT) 및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를 주도하는 ITU-T SG20 국제의장에 김형준 연구위원이 선출됐으며, 국제표준화 그룹 신설 제안을 통해 ITU-T 메타버스 표준화를 전담하는 포커스그룹(FG-MV) 신설과 함께 강신각 본부장이 의장으로 선출됐다고 전했다.
 
국제표준 개발에서는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 양자, 사이버 보안 등을 포함, 지난해 36건의 국제표준을 제정했으며, 이외에도 ▲제조 분야의 디지털 트윈 국제표준 4종 개발 ▲범용 디지털 트윈 개념을 세계 최초 정의한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요구사항 및 참조구조 ▲산업적 관심이 큰 공간무선전력전송 시스템 참조구조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목축 프레임워크 ▲스마트 빌딩 인프라 관리시스템 등 표준을 제정했다고 설명했다.

ETRI는 전략·원천기술의 기술선구자가 되겠다는 비전하에 미래 신성장동력이 예상되는 ICT 및 융합 전략기술의 선제적 확보를 위한 R&D 방향성을 재정립하고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연계해 성장동력 기술혁신의 일환으로 전략기술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국제표준기술을 발굴하겠다는 목표도 수립함으로써 전략기술 중심의 생산성 있는 표준화 추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강신각 ETRI 표준연구본부장은 “국가전략기술과 디지털혁신기술 분야의 중점기술 분야 국제표준화 성과를 연차별로 확대해 간다는 기관 차원의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영향력 있는 국제표준 성과 창출과 글로벌 표준 리더십 제고에 더욱 매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