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연구진이 'EVAN' 기술을 드론에 적용하는 모습 (사진=ETRI)
ETRI연구진이 'EVAN' 기술을 드론에 적용하는 모습 (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은 지난달 22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최된 국제표준화기구(ISO) 회의에서 ‘무인기 통신 네트워크’ 관련 4건의 기고서가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고 4일 밝혔다.

연구진이 국제표준으로 견인한 기술은 드론(무인기) 비행시 드론 간 충돌위험을 방지하고 수백 대의 드론을 동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드론 분산 통신 표준 기술이다.

이번에 제정된 국제표준은 무인기 통신 네트워크(UAAN)에 대한 표준으로 ▲무인기 통신모델 및 요구사항 ▲공유통신 ▲제어통신 ▲영상통신 등 총 4개 세부 기술이다.

ETRI 연구진의 드론 분산 통신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확정됨에 따라 향후 개발된 기술들이 대량 국제표준특허로 이어질 예정이라 시장전망도 밝다는 평가다.

이번 드론 통신 국제표준의 핵심기술은 '진화된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EVAN)'이다. 이를 통해 약 5km 내 드론은 물론  헬기도 상호 인식할 수 있어, 유인기와 무인기의 비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통신 모뎀은 수만원대로 저렴하고 가볍게 제작될 수 있으며 관련 장치까지 상호연결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ETRI가 개발한 무인기 통신 네트워크 표준은 드론 택시 같은 PAV(개인용 항공 기체)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임채덕 ETRI 에어모빌리티연구본부장은 “이번 국제표준 제정은 상용 드론을 서비스하는 데 필수적인 드론 운용 안정성 확보는 물론 LTE, 5G 등 이동통신 및 와이파이에 비해 적응형 통신망 구성이 용이하고 전송 효율이 높다"라며 "향후 빠르고 편리한 미래 에어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국제표준화 작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표준 기술력 향상 사업의 일환으로 주관기관인 ETRI를 중심으로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가 참여하여 진행됐다. 지난 2020년 3월 ETRI 황현구 책임연구원과 강신각 표준연구본부장이 에디터(의장)를 수임, 표준 작업이 시작돼 4년 만에 결실을 보게 됐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