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권호열) 및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최영해)와 함께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제2기 인공지능 윤리정책 포럼’ 출범식을 개최, 본격적인 사회적 논의를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챗GPT 등 초거대·생성형 인공지능(AI)의 사용이 확산되며 AI 윤리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학계와 산업계, 법조계, 교육계 전문가와 함께 포럼을 구성했다"라며 "관련 사회적 논의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린 셈"이라고 설명했다.

2기 포럼은 김명주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교수가 위원장을 맡고, AI와 철학, 교육, 법, 행정 등 분야별 전문가와 AI 산업계 종사자 등 30명이 위원으로 활동한다.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AI 윤리체계 확산(윤리분과), ▲AI 신뢰성 확보 기술 기반 마련( 기술분과) ▲AI 리터러시 및 윤리교육 강화(교육분과) 3개의 전문분과위원회를 구성, 세부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우선 지난해 의견수렴을 거친 ‘인공지능 윤리기준 실천을 위한 자율점검표(챗봇, 작문, 영상 분야)’ 및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안내서(일반, 공공사회,의료, 자율주행 분야)’를 공개했다. 또 토론을 통해 필요한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지속적인 포럼을 통해 국내외 동향을 살피고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주요 관련 정책과제에 대한 의견수렴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엄열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초거대·생성형 AI가 산업과 일상 속으로 빠르게 확산하는 상황에서 무엇보다도 기술의 개발부터 활용의 전 단계에서 사회적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며 “제2기 포럼이 AI 생태계에 속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윤리정책 방향에 관한 사회적 합의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관련 기술·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