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제 마련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다.
가디언을 비롯한 다수 외신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가 AI의 책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민간 영역의 조언이나 제안을 받겠다면서 공식적으로 도움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앨런 데이비슨 상무부 차관은 기자회견에서 "AI 규제의 틀이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정부가 결정하는데 국민의 의견이 필요하다"면서 "민간에서 만든 AI 도구의 감사 및 평가 도구 개발과 관련해 연구소들이나 산업 그룹, 개인 정보 보호 조직을 포함해 대중의 피드백을 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미 정부가 AI 시스템이 기업이 주장하는 대로 작동하는지, 안전하고 효과적인지, 차별적인 결과가 있는지 또는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의 편향을 반영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가드레일을 구축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AI 기술이 매우 빠르게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면서 "다른 기술과는 달리 AI 기술에 훨씬 더 긴급함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는 ‘AI 권리장전 청사진’을 발표하고 개인정보 보호와 알고리즘의 차별 지양, 자동화 시스템의 투명성 확보 등의 안전성 확보 원칙을 천명했었다. 또 국립 표준기술 연구소가 AI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를 발표하고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채택해 줄 것을 촉구했다.
한편 중국에서도 인터넷 감독기구인 사이버공간 관리국(CAC)이 11일 생성 AI 관련 제품과 관련한 규제 지침 초안을 발표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정병일 위원 jbi@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