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헬스 스택’ 1.0 버전 (사진=삼성전자)
‘삼성 헬스 스택’ 1.0 버전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대표 한종희, 경계현)는 17일~21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2023 HIMSS 글로벌 헬스 컨퍼런스 & 전시회’에 참가해 ‘삼성 헬스 스택’ 1.0 버전을 공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행사는 ‘미국 보건의료 정보관리시스템협회(HIMSS)’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헬스케어 기술 행사로 올해는 전 세계에서 1000여개 기업, 3만여명이 참가했다.

이번에 처음 공개하는 헬스 스택 1.0 버전은 삼성전자가 안드로이드 OS 기반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해 디지털 헬스 기술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다.

6월 공식 공개에 앞서 삼성전자는 전시 부스에서 헬스 스택을 활용해 제작된 모바일 앱과 연구 관리 도구들을 미리 체험해 보도록 했다.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해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 개발을 하는 기업이나 의료서비스 기관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디지털 헬스 케어 관련 솔루션 개발 ▲생체지표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가 기능별로 모듈화돼 있어, 솔루션이나 앱을 개발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또 데이터 수집부터 분석까지 전 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엔드 투 엔드 솔루션’을 제공하고, 보안성으로 연구개발 과정에서 안전하게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삼성 헬스 스택’ 1.0 버전 (사진=삼성전자)
‘삼성 헬스 스택’ 1.0 버전 (사진=삼성전자)

이윤수 삼성리서치 데이터인텔리전스 팀장은 “앞으로 헬스 스택을 활용한 협업을 확대해 글로벌 디지털 헬스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것”이라며, “관련 분야의 개발자들이 많이 활용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해 ‘SDC(삼성 개발자 컨퍼런스) 2022’에서 헬스 스택 알파 버전을 공개했으며, 이후 보안성과 안전성을 강화해 완성도를 높인 베타 버전을 지난 3월 공개했다.

스마트 인솔(깔창)을 활용한 헬스케어 스타트업 솔티드, 유방암 항암제 부작용 모니터링 플랫폼을 개발한 올라운드닥터스 등 국내외 헬스케어 기업들과 헬스 스택을 활용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