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판교 반도체산업협회에서 ‘한국 첨단반도체 기술센터’ 구축을 위한 산학연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3월15일 발표한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에 따른 후속 조치다. 반도체 첨단공정,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의 허브 역할을 담당할 기술센터 구축과 관련해 국내외 산업 및 학계 및 연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열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소자기업, 원익 IPS, 동진쎄미켐, 하나마이크론 등 국내 소부장 기업과 미국 램리서치와 AMAT, 네덜란드 ASML, 일본 TEL 등 글로벌 소부장 기업 및 학계 및 연구소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했다.
기술센터는 첨단반도체 공정 인프라를 집적해 반도체 산업 발전 방향 제시를 위한 반도체 중장기 제품·기술 로드맵 구축, IMEC 수준의 소자 기업과 소부장 기업의 공정·제품 기술개발 및 성능평가 지원, 반도체 전문 인력양성 등의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기술센터 구축 방안과 첨단반도체 기술 개발과 소부장 기업의 제품 평가 지원을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 기술센터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민간 참여 수익창출 방안 등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 등과 함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기술센터가 세계 반도체 첨단기술개발의 허브로 구축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한국 첨단반도체 기술센터가 세계적인 반도체 첨단기술개발 센터이자 반도체 기술·인프라·인력 교류의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정부는 국내 첨단반도체 연구개발(R&D) 생태계 구축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반도체·디스플레이·차세대전지 '초격차 기술' 위해 160조 투입
- "2042년까지 경기도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 쿠오핀, 엣지 AI 결합 영상전송 모듈 출시
- 삼성전자, 세계 최대 헬스케어 기술 전시회서 ‘헬스 스택’ 공개
- 광주 AI 기업 요람된 C-랩 아웃사이드 캠퍼스
- 산업부, 팹리스 간담회 개최..."AI 반도체 경쟁력 필요"
- 정부, 초거대 AI 활용한 제조서비스 모델 발굴한다
- 반도체 미래기술 민관협의체 출범...초격차 기술 위한 국가 역량 총결집
- 삼성전자, 업계 최초 ‘CXL 2.0 D램’ 개발
- KAIST-삼성전자, 반도체 인재 양성 위한 지원 확대
- 산업부-삼성전자의 기술나눔 행사...86개 기업에 특허 123건 무상 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