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연 네이버 대표 (사진=네이버)
최수연 네이버 대표 (사진=네이버)

네이버가 올여름 선보일 초거대 인공지능(AI) '하이퍼 클로바 X'를 서비스 전반에 도입하기로 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8일 분기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하이퍼클로바X는 전 세계 3번째이자 국내 최초로, 최대 규모 한국어 학습량을 보유한 GPT-4 대응 모델”이라며 "검색뿐만 아니라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선 검색 서비스 쪽에서는 사용자별로 최적화한 검색을 지원해 줄 '생성 AI' 검색 서비스를 위해 상반기 중 사내 베타 테스트를 준비 중이며, 하반기에 업그레이드 모델을 정식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네이버 쇼핑 및 여생 서비스와 지식인, 블로그 등에도 AI를 적용해 사용자 경험을 높인다고 전했다.

더불어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AI와 결합한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B2B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AI 윤리와 데이터 권리 문제에 대해선 “학계 전문가들과 긴밀하게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성능에 대해서는 "높은 성능에도 타사 대비 4분의 1 이상 절감된 비용으로 운영이 가능한 동시에 이미지와 음성 등을 이해할 수 있으며 계산기와 지도 등 다양한 기능의 API를 활용한 답변을 할 수 있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Q&A 중 글로벌 빅테크 대비 네이버의 AI 경쟁력이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2017년부터 계속해 왔고 세계에서는 세 번째로 초대규모 생성 AI를 위한 빅 모델을 가지고 있다"라며 "특히 한국어에 있어서는 글로벌 빅테크 대비 능가하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AI 인프라 비용 관련 질의에는 "GPU 구매를 2년 전 처음 했고 올해도 구매할 예정이나, 아직 전체 인프라 감가상각 중에서 10% 미만 정도 차지한다"며 "AI 투자 소요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AI 인프라 비용 7% 내외 유지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한편 네이버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30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9.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2조280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6% 증가했다.

지난해 취임일성으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를 통한 '글로벌'을 강조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지난해 취임일성으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를 통한 '글로벌'을 강조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