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T)
      (사진=KT)

KT(대표 직무대행 박종욱)는 중소벤처기업부·한국표준협회·한국전자기술연구원과 손잡고 시스템반도체, 로봇 분야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처음 시행하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혁신분야 창업패키지 민간검증' 트랙에 참여, 협업 중인 5개사가 최종 선발됐다고 10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첨단 미래산업 스타트업 육성전략 : 초격차 스타트업 1000+프로젝트’를 발표하고 10대 초격차 분야 유망 스타트업을 5년간 1000개사를 발굴하기로 했고, 올해 150개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10대 분야는 ▲시스템반도체 ▲바이오ž헬스 ▲미래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žAI) ▲사이버보안ž네트워크 ▲우주항공ž해양 ▲차세대원전 ▲양자기술 등이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에 선발된 기업에 3년간 최대 6억원 이내의 사업화 자금과 기업수요에 따라 최대 5억원의 R&D 자금 등 총 11억원의 자금을 직접 지원하고, 정책자금・보증・수출사업 등을 연계 지원한다.

여기에 선발된 AI 반도체 스타트업(팹리스) 리벨리온은 KT가 2022년 7월 300억원 규모의 전략투자를 한 곳으로, 개발한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아톰’은 KT IDC 및 KT의 초거대 AI 서비스 ‘믿음’에 탑재할 예정이다.
 
또 모레는 AI 인프라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으로 KT가 2021년 전략 투자를 진행한 이후 AI 학습용 클라우스 서비스, 초거대 AI 모델 개발 등에서 사업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래블업은 기업의 AI 학습을 위해 필요한 GPU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 '백엔드닷에이아이(Backend.AI)를 서비스하는 기업으로, ‘믿음’의 서비스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KT는 리벨리온과 모레, 래블업 등과 함께 한국형 'AI 반도체 풀스택'을 위한 동맹을 구축, 엔비디아에 대한 인프라 의존도를 낮추고 국산 AI 반도체 자립도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하이보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에서 함께 진행한 2022년 창업도약패키지 선정기업으로 중・근거리 광시야 라이다를 전문적으로 연구 개발하는 기업이다. KT는 하이보의 라이다센서를 활용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AI 가상펜스 서비스를 출시했다. 하이보는 초광각 라이다용 반도체를 자체개발, KT에 공급 중인 라이다센서에 적용할 예정이다.

로봇 분야의 엠투엠테크는 AI와 사물인터넷(IoT)을 결합한 사물지능형 융합기술(AIoT) 전문 기업으로, 스마트 M2M/IoT 기술을 보유한 회사다.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한 원격 유지관리 솔루션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고, 국제 IoT표준과 웹 보안 표준을 적용해 IoT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KT는 추진 중인 서비스 로봇사업과 연계해 사업 협력을 진행 중이다.

KT는 초격차 분야에 선정된 5개사에 향후 브릿지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전시회 참여와 R&D 등에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KT 측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중점 육성할 예정인 초격차 분야 스타트업이 유니콘으로 성장해 국가의 미래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조예주 기자 joyejuoffice@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