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이 자체 상품 검색 시스템에 인공지능(AI) 챗봇을 도입한다.
블룸버그는 15일(현지시간) 아마존이 최근 선임 엔지니어 채용공고에서 "사용자가 질문할 수 있고 제품을 비교하며 개인화된 제안을 받을 수 있도록 대화형 경험으로 아마존 검색을 재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아마존은 지난달에도 구인 게시판에 '우리의 비전을 고객에게 즉시 전달해 줄 수 있는 인재를 찾고 있다. 검색의 세대교체가 올 것이다'라고 쓴 바 있다. 다른 직무 설명에서는 '차세대 대규모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검색 방식을 재설계하는 기획의 일부'라고 소개했다.
케리 베르톨리노 아마존 대변인은 이에 대해 언급을 거부했다. 다만 블룸버그에 보낸 이메일에 "우리는 모든 비즈니스에서 생성 AI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마존 앱과 홈페이지의 검색창은 제품을 찾으려는 고객들이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창구다. 소프트웨어 업체인 정글 스카우트가 올해 초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쇼핑객의 절반 이상이 구글보다 아마존닷컴에서 제품 검색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날 정도로 이용도가 높다.
그러나 아마존 검색은 결과에 광고와 스폰서 콘텐츠가 많이 포함돼 고객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실제 제품 검색을 하면 광고가 먼저 나오고 다음에 제품들이 나온다. 이에 따라 아마존 검색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와 관련해 앤디 재시 아마존 CEO도 지난달 실적발표에서 “생성AI 기술은 고객 경험을 변화시킬 수 있는 놀라운 기회를 제공한다”며 적극적인 도입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정병일 기자 jbi@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