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분야 리더인 오픈AI와 구글이 AI 규제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생각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오픈AI는 강력한 정부 기구의 주도를 지지하는 반면, 구글은 폭넓은 거버넌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CNBC는 13일(현지시간) 오픈AI와 구글이 AI 규제안에 대한 의견을 묻는 미국 상무부 산하 통신정보관리청(NTIA)의 요청에 대해 답변을 전달했다며 그 세부 내용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오픈AI는 샘 알트먼 CEO가 지난달 상원 청문회에서 밝혔듯 AI 규제를 전담할 별도의 국가 조직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AI 개발에 라이선스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했다. 알트먼 CEO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같은 강력한 국제 기구 설립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구글은 AI 거버넌스에 대한 다층적, 다중 이해관계자 접근 방식을 선호한다는 입장이다.
구글은 회신을 통해 ″국가 차원에서 우리는 ‘AI 부서’가 아닌 NIST(국립표준기술연구소)와 같은 중앙 기관이 부문별 규제 기관을 조정하는 '허브 앤 스포크'(Hub and Spoke) 방식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NIST는 미국 상무부 산하의 비규제 기관으로, 산업 진흥에 초점을 맞춘 조직이다. 또 허브 앤 스포크란 자전거 바퀴처럼 힘이 축으로 모였다가 살로 분산되는 구조를 말한다. 즉 구글은 규제보다 모든 이해당사자가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책임감을 가지고 협의하는 거버넌스를 원하고 있다.
그 이유로 "AI는 금융 서비스, 의료 및 기타 규제 산업에서 고유한 문제를 제시할 것이며, 해당 분야에서 경험이 있는 규제 기관의 전문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문제 영역을 제시할 것'이라며 다양한 상황을 대응하려면 단일 부서의 역할로는 어렵다는 점을 들었다.
오픈AI와 구글 이외에 연구원들도 구글과 비슷한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빅테크 소속이 아닌 상당수 연구진은 정부 규제가 소외된 소규모의 커뮤니티를 보호하는 좋은 방법일 수도 있다는 입장도 전했다.
규제에 대한 두 회사의 상반된 견해에 대해 CNBC는 "AI 규제에 대한 논쟁이 점점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했다.
헬렌 토너 조지타운 보안 및 기술센터 이사는 ″AI를 위한 새로운 정부 조직이 과연 필요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며 ”기존 규제 당국과 함께 AI를 처리해야 할지, 아니면 한 곳에서 모든 종류의 AI를 관리하는 것 중 무엇이 더 현실적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