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T 사장(가운데)과 K-AI 얼라이언스 멤버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T)
유영상 SKT 사장(가운데)과 K-AI 얼라이언스 멤버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T)

SK텔레콤이 ‘K-AI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초거대 인공지능(AI) 생태계 확장을 위한 글로벌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K-AI 얼라이언스’ 파트너사 대표들과 함께 ‘글로벌 AI 생태계를 선도하기 위한 사업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자리는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23에서 AI 사업을 협력하고, 글로벌 진출을 함께 추진하기 위한 ‘K-AI 얼라이언스’ 출범을 발표한 이후 공식적으로 이루어진 후속 행보다.

SKT는 국내 대표 AI 기업인 씨메스, 마키나락스, 스캐터랩, 프렌들리에이아이가 이번 AI 동맹에 합류하면서 총 11개 기업들이 모여 ‘K-AI 얼라이언스’를 확대하고 다양한 협력과 글로벌 진출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11개 기업에는 사피온, 베스핀글로벌, 몰로코, 코난테크놀로지, 스윗, 팬텀 AI, 투아트 등도 포함돼 있다.

16일 행사는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SKTA에서 열렸으며, 유영상 사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참여해 얼라이언스 파트너사 대표들에 AI 대전환 비전과 사업 계획을 공유했다.

유영상 SKT 사장이 AI 대전환 비전을 밝히고 있다. (사진=SKT)
유영상 SKT 사장이 AI 대전환 비전을 밝히고 있다. (사진=SKT)

또 최근 화두인 ▲실리콘밸리 중심의 AI 트렌드 및 시사점 ▲R&D 기술 공유 ▲글로벌 사업 및 투자 기회 모색 등에 대해 함께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이번에 새로 합류하는 AI 로보틱스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씨메스는 서비스형 로봇(RaaS) 요금제를 개발하고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AI 기반의 RaaS 구독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주고 받았다.

최근에는 기업들의 자동화에 대한 추가 인력이나 인프라 투자의 대안으로 서비스형 로봇이 주목받고 있으며 물류, 배달, 건설, 헬스케어 등에서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SKT가 지난 4월 150억원 지분 투자한 스캐터랩과는 에이닷(A.) 서비스 안에 감성대화형 AI 에이전트를 출시할 계획이다.

산업용 AI 전문기업 마키나락스와 AI개발 플랫폼 기업 프렌들리에이아이도 AI 핵심 기술과 시너지 방안에 대해 공유하고 글로벌 AI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유영상 SKT 사장은 “국내 대표 AI 플레이어들과 ’AI 동맹’ 강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새로운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밑그림이 완성되어 기쁘다”며 “AI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 기회를 공동으로 모색하면서 대한민국의 AI 기술과 인프라가 글로벌 시장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힘을 모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