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직무대행 박래길)은 영국 글로벌 대학평가 기관인 QS(쿼커렐리 시먼즈)가 발표한 2024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부문 국내 1위, 세계 5위로 평가됐다고 28일 밝혔다.
GIST는 이 부문에서 2008년 이후 16년 연속 국내 1위로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세계 대학 중에서도 줄곧 2위에서 6위 사이를 기록하며 세계 TOP 10의 최상위권을 유지해 세계 정상급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는 취지다.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는 해당 대학 연구자들의 논문이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얼마나 많이 인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대학 연구 역량의 양과 질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이다.
올해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부문에서는 2017부터 2021년까지 5년간 동안 해당 대학에서 발표한 논문에 대해 2017~2022년(6년간) 동안 인용된 피인용 수를 전체 교원 수로 나눈 값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겼다.
이 지표는 설문조사로 이루어지는 ‘학계평판’이나 ‘졸업생평판’과 같은 지표와 달리, 연구 실적과 다른 연구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평가 항목으로 꼽힌다.
GIST는 16년간 세계 정상급 연구역량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설립 초기부터 국제화와 융합을 운영 철학으로 삼고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왔기 때문이라고 자평했다.
국내 대학으로는 GIST에 이어 DGIST가 세계 7위로 나타났으며, UNIST와 POSTECH, KAIST가 세계 25·29·35위에 올랐다. 세계 1위는 미국 하버드대학교가 차지했으며, 프린스턴대학교, 칼텍, MIT가 2~4위에 이름을 올렸다.
박래길 총장직무대행은 “교수 1인당 피인용 수 부문에서 16년 연속 국내 1위를 달성함으로써 다시 한 번 GIST가 국내 최고의 연구 역량을 지닌 대학임을 입증했다”면서 “앞으로도 GIST는 국내 1위라는 타이틀에 걸맞은 교육과 연구로 지역 및 국가와 함께 성장하는 기관이 되겠다”고 말했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aitimes.com
- ‘한국형 초미세먼지' 더 정확히 예측…GIST, 대기질 예보 시스템 개발
- 한승수 전 총리, GIST 방문해 산업 현안 논의
- GIST-한화비전, 국제 AI 음향인식 대회 1위
- 기업은행, 'IBK창공 기술매칭 프로그램' 운영
- 광주 AI영재고 예산 1000억 예상…기획용역 연내 마무리
- AI기반 탈중앙화거래소 '월드랜드' 오픈 청신호…리버밴스, AICA 지원사업 선정
- GIST 제9대 총장에 임기철 전 KISTEP원장
- GIST, ‘양자지우개’ 관측과 새로운 해석 제시
- 인지텍, AI 교통사고 예견 시스템 상용화 나서
- 클라우드스톤, 배달긱 서비스 고도화…"대학·아파트 서비스 확장"
- GIST, 리듬을 피부로 느끼는 ‘햅틱 밴드’ 개발...배리어프리 공연서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