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유럽연합(EU)이 '웹 4.0(Web 4.0)'이라는 용어를 먼저 들고 나왔다. 메타버스와 차세대 인터넷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웹 4.0에 대한 이니셔티브를 공개할 예정이다.

EU 전문 유로액티브는 9일(현지시간) 유럽 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내부 문서를 인용, 11일 웹 4.0과 가상 세계에 대한 이니셔티브를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유럽 위원회는 "차기 기술 전환에서 유리한 출발"을 하기 위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메타버스, 확장현실(XR) 등의 개념을 혼합한 웹 4.0 개념을 들고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해 9월 티에리 브르통 위원이 메타버스에 대한 비입법적인 이니셔티브를 2023년 공개하겠다고 예고한 데 따른 것이다.

웹 4.0이라는 용어는 2010년대 중반부터 학술적인 의미에서 간간히 등장한 개념적인 용어이지만, 이번에 EU와 같이 공식적으로 사용한 예는 찾아보기 드물다. 

문서는 웹 4.0에 대한 개념 설명과 더불어 ▲사용자(Citizen) ▲기업(Companies) ▲공공정책(Public policies) ▲거버넌스(Governance) 등 요소별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사용자의 경우 EU는 "플랫폼과 네트워크 간 상호 운용성과 사용자 선택의 자유를 가능하게 하고, 지속 가능성이 기술 개발의 핵심인 개방적이고 고도로 분산된 기술 및 표준을 촉진할 계획"이다.

즉 메타버스에도 개인정보 보호와 소비자 보호, 데이터 문제, 플랫폼 규제 등에 대한 기존 법률의 연장선상에서 움직이겠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 관련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메타버스가 사람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위해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또 내년 1분기에는 일반 대중을 위한 가상세계용 플랫폼을 제공할 계획이며, 어린이를 위한 메타버스 규정도 다룰 예정이다. 
허위 정보와 관련해서는 기존에 이를 담당하던 기관 및 규정 등과의 시너지를 모색한다. 

기업의 경우 EU는 3D 모델링이나 게임, 가상현실(VR) 등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일부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생태계가 파편화됐으며 신기술 활용 및 금융 문제에 취약점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자들을 묶어 로드맵을 개발하고 새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테스트하기 위한 '규제 샌드박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사실은 EU가 일부 빅테크 위주의 폐쇄적인 메타버스 구조를 피하기 위해 국제 표준기구 등과 협력, '오픈 메타버스'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공공 정책분야에서는 메타버스에서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 예로 EU 프로젝트인 유러피언 시티버스(European CitiVerse)는 지방 당국이 도시 계획 및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이미 시작됐으며, 언어 기술과 블록체인 등 기술 영역을 담당하는 새로운 디지털 인프라 컨소시엄을 출점할 예정이다. 또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디지털 방식으로 인체를 복제하고 의료진에 제공, 의료 행위를 돕고 개인 건강을 관리하는 '버추얼 휴먼 트윈(Virtual Human Twin)' 프로젝트도 시작한다.

더불어 '알고리즘 투명성 연구 센터'를 출범, AI의 블랙박스 해결을 위한 국제적인 연구 허브도 구축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EU는 웹 4.0에 대한 모범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각국 전문가를 모은 거버넌스 그룹을 출범한다. 이는 기존 거버넌스보다 더 기술적인 부분을 다루게 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유로액티브는 " EU 집행부의 전략은 기존 프로그램과의 연계와 새로운 기술 장치의 개발, 파트너십 강화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정리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