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 (사진=루닛)
루닛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 (사진=루닛)

의료 인공지능(AI) 전문 루닛(대표 서범석)은 병리과 전문의 연구팀이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한 유방암 치료반응 예측 연구 결과를 글로벌 과학학술지 ‘NPJ 유방암’에 게재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병리과 전문의가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 유방암 기질 부위에 존재하는 '기질종양침윤림프구(sTIL)'의 측정 편차를 줄이는 데에 주력했다. 

종양침윤림프구의 침윤 정도는 유방암 환자의 예후 및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척도 중 하나다. 하지만 평가 방법이 복잡하고 관찰자마다 판단 기준이 달라 측정 편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루닛은 전문의 3명을 통해 미국 및 국내에서 확보한 유방암 환자 슬라이드 이미지 402건을 분석, 각각 침윤 정도의 점수를 평가했다. 그 결과 226건(56.2%)에서 루닛 스코프 IO의 분석과 전문의 분석 사이 10%포인트 이상의 차이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병리과 전문의들은 해당 226건의 슬라이드에 루닛 스코프 IO의 결과 화면을 이용, 재판독을 실시했다. 이후 전문의 간 의견 불일치는 116건(28.9%)으로 크게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루닛 스코프 IO를 잘 활용하면 유방암 치료 시 평가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는 결과다. 

아울러 수술 전 항암제 치료인 ‘선행항암요법'의 치료반응까지 예측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 역시 기질종양침윤림프구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높은 sTIL 수치는 선행항암요법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실제 병리과 전문의가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sTIL을 판독하자 긍정적 예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sTIL이 높은 환자군에 관해 가능성이 높았다는 설명이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유방암 치료 반응 예측에서 AI를 활용한 객관적 평가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없었다”며 “특히 이번 연구로 루닛 스코프 IO가 종양침윤림프구 수치를 객관적으로 분석, 유방암 치료 반응을 예측의 바이오마커가 될 가능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