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전문 뤼튼테크놀로지스(대표 이세영)’는 최근 6개월간의 프롬프톤 성과를 공개하고 교육 전문가 양성으로 국내외 전 지역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AI 생태계 확장을 가속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뤼튼은 지난 4월부터 특별한 코딩 지식 없이 자연어 프롬프트만으로 AI 도구과 챗봇을 제작하는 프롬프톤 대회를 개최해왔다. 프롬프톤은 서울, 수원, 진천, 김천, 양산, 제주와 일본 도쿄 등 모두 22회 열렸고 누적 참가자는 1500명을 넘어섰다.
특히 ▲연세대, 성균관대, 경희대 등 대학과 ▲경기도청, 국가표준원,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지자체 및 공기관 ▲녹십자, SK C&C, KB그룹 관계사, 신세계백화점, YBM, 로앤굿 등 민간 기업까지 참여했다. 올 한해 프론프톤 개최 횟수는 잔여 행사를 포함해 30회 이상, 연간 참여자는 2000여명에 달할 전망이다.
뤼튼 프롬프톤은 전문 코딩 지식을 지닌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AI 툴빌더 ‘뤼튼 스튜디오’를 통해 AI 도구와 챗봇 등을 만들어 내는 행사다.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몇시간 만에 경진대회를 통해 생성 AI를 체험할 수 있다.
실제로 고등학생부터 60대 이상 다양한 연령층에서 프롬프톤에 참여했으며, 제주도 프롬프톤에서는 이혼을 고려 중인 부부용 상담 챗봇 ‘이혼의 참견’이 수상작에 이름을 올렸다.
뤼튼은 향후 'WCC'라는 인증 프로그램을 도입해 전문가를 육성하고 AI 교육 행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WCC는 뤼튼이 B2B 기업 교육 수요에 따라 운영하는 프롬프톤에 참여하거나 교육 행사를 직접 기획해 운영할 수 있다. 2023년 1기 WCC를 현재 모집 중이며, 11월 중 뤼튼이 자체 시행하는 전문 교육 과정을 거쳐 선발할 예정이다.
이세영 뤼튼 대표는 “AI 포털 서비스를 주도하는 기업으로서 일반 이용자의 AI 경험 확대와 관련 서비스 문호 개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라며 “뤼튼 프롬프톤과 WCC 인증 프로그램은 우리 사회 전체에 생성 AI 경험을 한층 널리 알리고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