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중국 기술 제재가 클라우드로 확대될 전망이다. 인공지능(AI) 칩 수출 금지에 이어 이번에는 미국의 주요 클라우드 업체에 접속하는 것을 막아, 중국의 AI 개발을 억제하겠다는 의도다.
로이터는 27일(현지시간)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의 클라우드 기업에 누가 접속하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정보 제공 요청을 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지나 라이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중국이나 미국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AI 모델 교육을 위해 미국 클라우드에 접속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라며 "미국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면 우리가 수출 금지한 AI 칩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잠재적인 악의적 활동을 차단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주요 클라우드 업체에는 다음주 자료 제출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라이몬도 장관은 이를 통해 단지 접속 금지뿐 아니라 어떤 기업이 어느 정도 규모의 AI 모델을 개발하는지도 파악하겠다고 밝혔다.
또 "중국뿐 아니라 미국 외 국가의 기업이 대형언어모델(LLM) 훈련을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할 때마다 미국 정부에 보고하는 프로세스도 진행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클라우드 통제는 이미 지난해 7월 검토됐다. 당시에는 중국이 희토류 수출 금지로 맞설 경우, 보복안으로 준비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후 사태가 더 악화하지 않자, 후속 조치는 실제 이뤄지지 않았다.
한편 라이몬도 장관은 이번 정보 제공 요청은 지난해 10월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 명령 중 국방물자생산법(DPA)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DPA는 미국의 국가안보나 경제, 공중 보건 등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AI 개발자가 서비스 출시에 앞서 안전성 테스트 결과를 보고해야 하는 규정이다. 기업은 정부 요청 시 30일 내로 답해야 한다.
라이몬도 장관은 "이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기업은 위험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간주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