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군부와 국영 인공지능(AI) 연구 기관, 대학 등이 미국 수출규제 기간 중에도 엔비디아 AI 칩을 사들여 기술 개발에 활용한 정황이 포착됐다.
로이터는 15일(현지시간) 중국 정부에서 운영하는 AI 연구소 등이 지난해 미국의 수출금지 대상에 포함된 엔비디아 반도체를 사들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관련 입찰 문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이 고성능 AI 반도체를 확보해 군사무기 및 첨단 기술 개발에 활용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 2022년 10월부터 고사양 AI 칩인 'A100'과 'H100'을 중국에 수출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수출통제를 발표했다. 지난해 10월에는 저사양 AI 칩인 'A800'과 'H800'도 수출을 금지했다.
하지만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가 기관은 A100 칩을 100건 조달했고, 지난해 10월 이후에는 A800을 수십건 구입한 내역이 확인됐다. 하얼빈 공과대학은 딥러닝 모델 훈련 명목으로 지난해 5월 A100 칩 6개를 사들였고, 중국전자과학기술대는 2022년 12월 A100 칩 1개를 구매했다. 지난달에는 국립칭화대와 중국 공업정보화부 산하 연구소가 H100 칩 각각 2개와 1개를 구입했다. 칭화대는 2022년 수출금지 조치 후에도 A100 칩 80개를 사들였다. 국립충칭대도 이달 A100을 조달했다.
심지어 중국 장쑤성 우시에 있는 인민해방군도 지난해 10월 A100 칩 3개를, 이번 달에는 H100 칩 1개를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기관이 어떤 경로를 통해 엔비디아 제품을 사들였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들이 조달한 경로는 엔비디아나 엔비디아의 승인을 받은 소매업체가 아니라 확인되지 않은 공급업체였다고 전했다. 미국의 수출 통제 조치로 생겨난 반도체 지하 시장에서 조달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에 구멍이 확인된 셈이다.
이처럼 수출 통제 후에도 AI 반도체가 중국에 넘어간 것은 미국이 최첨단 칩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완전히 차단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크리스 밀러 미 터프츠대학교 교수는 '반도체가 크기가 작고 밀수가 쉽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국의 수출 금지 조치가 완벽할 수 있다는 생각은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각 기관의 구매 수량은 챗GPT와 같은 대형언어모델(LLM)을 개발하고 운영하기에는 매우 적은 양이다. LLM 구축에는 A100 3만개 이상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에 개발하던 AI 모델을 향상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라면 소량의 반도체로도 충분하다. 예를 들어 중국의 산둥 AI 연구소는 지난달 29만위안(약 5300만원)에 A100 칩 5개를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엔비디아는 “고객사가 불법적인 경로를 통해 제3자에 제품을 판매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겠다”라고 밝혔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 중국, 미국 반도체 제재 우회 거점으로 말레이시아 이용
- 미국, AI칩 수출 제재 확대..."칩 범위 확대하고 우회 경로 완전 차단"
- 미국, 'H100' GPU 이어 'H800'도 중국 수출 제한한다
- 바이두, 어니봇과 중국군 연계 가능성에 주가 폭락
- 미국, '클라우드 사용 금지'로 중국 제재 확대 검토
- AMD, 미국 정부에 AI 칩 중국 수출길 막혀
- 중국, 정부 PC에 미국산 칩과 SW 사용 금지
- 중국 암시장서 'H100' GPU 가격 하락..."H200 출시 앞두고 재고 정리"
- 엔비디아, 수출 제재에도 올해 중국서 17조 매출 예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