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워크데이)
(사진= 워크데이)

인공지능(AI)에 대해 경영진보다 직원들의 거부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폭 벏은거버너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기업용 인사·재무관리 솔루션 전문 워크데이는 직장 내 비즈니스 리더와 직원들 사이에 AI 시스템에 대한 신뢰 수준의 차이가 있다는 최신 연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비즈니스 리더와 직원 모두 AI가 비스니스 전환을 위한 큰 기회라는 것에 동의하지만, AI가 책임감 있게 활용될 것이라는 신뢰는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경영진보다 직원들이 더 회의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 리더의 62%와 직원들의 52%가 AI 도입을 환영한다고 응답, 리더에 비해 직원들의 긍정적 응답 수치가 낮았다.

투명한 AI 거버넌스에 대한 직원들의 신뢰 수준도 낮았다. 직원의 23%는 기업이 AI를 구현할 때 직원의 이익을 회사의 이익보다 우선하는지 확신하지 못했다. 심지어 75%는 기업이 AI 규제에 비협조적이라고 응답했으며, 80%는 회사가 책임감 있는 AI 활용 가이드라인을 아직 공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AI 개발에 관해서는 비즈니스 리더의 70%가 인간이 쉽게 검토하고 개입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동의한 반면, 직원의 42%는 AI로 자동화할 시스템과 인간이 개입해야 할 시스템이 무엇인지도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워크데이의 관련 선행 연구에서도 비슷한 모습이 나타났다. 리더의 72%가 기업이 AI와 머신러닝을 완전히 구현하는 기술이 부족하다고 답했으며, 76%는 지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짐 스트래튼 워크데이 CTO는 "이번 조사에 따르면, 리더와 직원은 직장 내 AI 활용에 관련해 기업 의도에 대한 신뢰와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라며 "이런 신뢰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기업은 혁신과 신뢰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옹호에 초점을 맞춰 AI 책임 및 거버넌스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워크데이가 의뢰하고 마케팅 대행사 FT롱기튜드가 2023년 11~12월에 실시했다. 북미, 아시아 태평양, 중동 및 아프리카 등의 15개 국가에서 1357명의 비즈니스 리더와 400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