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코미디언 사라 실버맨의 고소로 유명해진 저작권 소승에서 일부 승소했다.
로이터와 더 버지는 1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법원이 오픈AI의 '챗GPT'가 자신의 작품을 불법 복제했다고 주장하는 코미디언 사라 실버맨 등 작가 5명이 제기한 저작권 소송을 부분적으로 기각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이번 소송에는 6가지 내용을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는 ▲직접적인 저작권 침해 ▲대리 저작권 침해 ▲저작권 관리 정보를 삭제해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DMCA) 위반 ▲불공정한 경쟁 ▲ 과실 ▲부당 이득 등이 포함됐다.
이에 대해 오픈AI는 직접적인 저작권 침해를 제외하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법원은 판결을 통해 대리 저작권 침해, DMCA 위반, 과실 및 부당 이득 등 4개항에 대한 주장을 기각했다. 즉 불법적인 사업 관행과 관련한 사기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대신 오픈AI의 손을 들어 줬다.
마르티네스 올긴 판사는 "챗GPT가 출력한 내용이 저자들의 책 내용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을 입증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또 "오픈AI가 제목 및 등록 번호와 같은 저작권 관리 정보를 의도적으로 제거했다는 주장이나 저자가 경제적 피해를 입증했다는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라며 “향후 지적재산권에 대한 피해 위험이 있다는 주장도 추측에 불과하다"라고 말했다.
실버맨 등은 3월13일까지 소장을 수정해서 제출할 수 있다. 핵심은 판사의 지적대로 원작과 챗GPT 출력물의 유사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번 재판에서 오픈AI는 상당한 성과를 거뒀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조지 RR 마틴과 존 그리샴 등이 포함된 미국 작가조합과 뉴욕타임스의 소송이 대표적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데미언 허스트 등 '미드저니' 명단 포함 아티스트 "소송 촉구"
- 'AI 공정 학습' 인증 등장..."데이터 제공자·사용자 모두에 이익 추구"
- 오픈AI "NYT 소송은 쓸데없는 일...희귀한 '버그' 조작 가능성도"
- 애플, 생성 AI 출시 앞두고 저작권 계약 추진
- 레딧, 연간 800억 규모 AI 데이터 학습 계약
- 오픈AI "NYT가 저작권 소송 위해 돈 주고 챗GPT 해킹해"
- 오픈AI, 또 저작권 소송...반년 만에 고소 10여건 달해
- 오픈AI, 미국 8개 신문사로부터 저작권 소송...변호사 30여명으로 대응
- JYP·SM·YG·하이브 영상도 AI 학습 무단 사용 의혹...런웨이 '유튜브 리스트' 파문 확산
- 오픈AI, 챗GPT 독창성 입증하기 위해 GPT-4o 출력물 법원에 제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