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사진=셔터스톡)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사진=셔터스톡) 

사우디아라비아가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위해 400억달러(약 54조원)를 투자할 방침이다. 전 세계 주요 정부가 AI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앞다퉈 투자를 확대하는 모습이다.

뉴욕타임스(NYT)는 1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가 올해 하반기 출범을 목표로 AI 분야에 투자하기 위한 400억달러 규모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사우디의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이끄는 국부펀드(PIF)가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벤처캐피탈(VC) 회사 중 하나로 꼽히는 앤드리슨 호로비츠 및 기타 금융사들과 AI 기금 조성에 대해 논의했다. 앤드리슨 호로비츠는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 사무소를 설립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사우디 PIF 관계자들은 최근 논의에서 400억달러의 AI 펀드가 어떻게 운용될지와 이미 AI 분야의 적극적 투자사인 앤드리슨 호로위츠가 펀드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NYT는 투자가 확정된다면 사우디가 AI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국가가 된다고 짚었다. 특히 사우디가 설정한 400억달러 규모는 미국 VC들의 투자 규모를 크게 능가하는 것이며, 이에 맞설 만한 투자를 하는 회사는 일본 소프트뱅크 뿐이라는 설명이다.

사우디 측은 반도체 제조업체와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AI 관련 스타트업 다수를 지원하는 방안은 물론, 자체적인 AI 업체를 설립하는 것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펀드 조성 계획은 최근 전 세계에 정부들이 AI 시장 선점을 위해 앞다퉈 투자를 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최근 의회에 제출한 연방 예산안에서 AI 분야에 200억달러(약 26조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중국은 올해 AI를 포함한 과학기술 분야 예산을 10% 늘린 68조6000억위안(약 1경2700조원)으로 책정했으며, 프랑스의 범부처 AI 위원회는 정부에 앞으로 5년간 매년 50억유로(약 7조2600억원)를 투자하라고 권고했다.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도 AI 프로젝트를 촉진하기 위해 10억유로(약 1조4500억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번 발표는 중국이 중동 진출 및 미국 수출 제재 우회를 위해 교두보로 삼은 사우디와 미국을 대표하는 VC 기업이 연계한다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

중국은 사우디와의 긴밀한 관계를 발판으로 지난해 9월 화웨이가 중동에서 처음으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개설하고 대형언어모델(LLM)을 제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사우디를 기반으로 중동은 물론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지역까지 확장할 뜻을 밝혔다.

이에 미국의 수출 제재로 GPU 확보가 어려워진 중국이 사우디를 활용하는 '우회 전략'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