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고객센터 직원이 AI 클린 메시징 시스템으로 스팸 메시지를 분석하고 있다. (사진=KT)
KT 고객센터 직원이 AI 클린 메시징 시스템으로 스팸 메시지를 분석하고 있다. (사진=KT)

KT(대표 김영섭)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자동으로 스팸 문자를 차단하는 ‘AI 스팸 수신차단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AI 스팸 수신차단 서비스는 KT 고객이라면 누구나 사용 가능한 무료 부가서비스다.광고성 스팸문자를 AI가 자동으로 분석, 차단해 준다. 자동 차단 문자 외에도 이용자가 직접 번호와 문구를 추가, 등록하면 차단이 가능하다.

KT는 3년 간의 준비 기간 동안 일 평균 150만건 이상의 스팸 데이터를 딥러닝으로 학습, AI 스팸 차단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특히 사람이 처리했던 기존 서비스보다 효율을 극대화, 연간 1000만건의 스팸 메시지를 추가로 차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 스팸 차단의 정확도는 99% 수준이며, 스팸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도 절반으로 줄었다.

KT는 이번 서비스를 시작으로 올해 다양한 안심 서비스를 추가 출시할 계획이다.

상반기엔 ‘IP 기반 실시간 스팸 차단’ 시스템을 구축, ‘서킷브레이커(가칭)’라는 보이스피싱 번호 긴급 차단 시스템도 도입한다. 하반기엔 AI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결합해 문자의 스팸 위험도를 알려주는 ‘스팸 위험도 문자내 표시’ 서비스를 출시해 피싱 위험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이병무 KT 고객경험혁신본부장은 “지난 해 조직한 통신부정사용 대응 협의체를 전사 안전 안심 1등 달성 TF로 확대 개편했다”라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안심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실시간 차단 기술을 개발해 스팸 문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