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사용 절감을 위해 KT가 인공지능(AI) 기술을 네트워크 시스템 운용에 접목한다.
KT(대표 김영섭)는 지구의 날을 기념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는 AI 기술 3가지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소개한 기술은 ▲‘AI 템스(TEMS)’와 ▲‘에너지 절감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 그리고 ▲서버 전력 공급 최적화 솔루션 등이다.
AI 템스는 AI가 장비의 특징과 위치 별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 통신실 적정 온도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냉방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영해준다. KT는 4곳의 통신실에 시범 적용해 냉방 시스템 효율을 24% 개선했다며,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간다고 설명했다.
에너지 절감 오케스트레이터는 기지국의 전파 출력을 AI가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이다. 기지국의 트래픽을 분석해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낼 수 있는 전파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돕는다. 4월부터 일부 5G 기지국에 시범적으로 도입됐다.
서버 전력 공급 최적화 솔루션은 서버의 전력을 절감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각종 서버의 중앙 처리 장치(CPU)의 부하를 자동으로 분석해 최적의 전력을 공급한다.
오택균 KT 네트워크운용본부장 상무는 “KT는 AICT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에너지 효율성을 제고하고, 지구 환경 보호에 기여할 것”이라며 “2050 넷 제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 KT, AI 로봇 포함한 소상공인 대상 ‘으랏차차 패키지’ 출시
- KT, 파트너스 상생 서밋 개최..."AI 파트너 소통·협업 강화"
- KT, 과기부 클라우드 서비스·보급 확산 사업 참여…수요기업 모집
- KT, ‘AI 스팸 수신차단 서비스’ 시작
- KT-대동, AI 로봇 기반 농업기술 혁신 MOU
- KT, 책임감 있는 인공지능 센터 신설..."거버넌스 체계 확립"
- KT, K-UAM 실증서 세계 최초 UAM 통합운용체계 검증
- KT “지니TV·skyTV에 AI 기술 대폭 투입...자유로운 시청 돕는다”
- KT-IBK, AI 메일보안·탐지모델 접목...정보보안 강화 M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