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산불을 감지하는 시대에 돌입했다. 전라남도 곡성군이 전남도에선 최초로 첨단 AI 기술을 활용하여 군민의 생명 및 산림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산불ICT 플랫폼 구축사업을 완료했다고 1일 전했다.
산불ICT 플랫폼 구축사업은 산림분야에 첨단 AI기술을 접목한 사업으로 전남에서는 곡성이 최초로 선정되어 지난해부터 총 사업비 3억7500만원을 투입하여 사업을 추진하였다.
곡성은 임야 면적이 72% 이상으로 다른 시군에 비해 산림 면적이 많아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이며 기존에 운영 중인 산불 무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24시간 인력 대기가 어렵고 야간 산불 감시가 취약하여 산불 발생 시 초기 대응이 지연되면 진화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어 대형 산불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곡성은 이러한 한계점을 인식하고 산불의 조기 감지 및 대응력을 키우기 위하여 AI 기반의 감시시스템을 도입하였다.
해당 사업은 AI 시스템이 산불 연기의 패턴을 지속적으로 학습 한 후 불이 아닌 연기를 먼저 감지하여 산불 발생 시 상황을 전파하는 시스템으로 산불 연기를 탐지 할 시 최초 발화지점 위치 정보를 SMS 알림을 통해 담당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초기 진압에 따라 대형재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철 곡성 군수는 "최근 3년간 곡성군에서는 총 7건의 산불이 발생하였는데 이 중 5건은 야간산불이였다"라며 "취약시간대 감시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산불ICT 플랫폼을 활용하여 산불상황에 24시간 즉각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대형재난으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곡성군은 산불 감시효율을 높일 수 있는 대상지 8개소에 대해 무인감시카메라 신규 설치 및 AI 시스템 연계 등 4월 말 사업을 완료하였으며, 현재 시스템을 운영 중에 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 광양, 2024년 정부합동평가 '전남 내 종합 1위'
- 여수, 사회공헌에 대한 발전방향 모색
- 총사업비 440억 '차세대 펩타이드 첨단신약 플랫폼' 화순에 구축
- 순천에 우주·신소재 신산업분야 속속 들어서
- 순천 율촌산단에 '동부권 감염병진단검사센터' 개청
- 순천만국가정원, 개장 한달만에 100만 돌파
- 2024년 곡성군민의 상 수상자 '선정'
- 전남도-SK그룹, 사회성과인센티브 지원 기업모집
- 여수시, 장애인체육대회 7년 연속 종합우승 위업 달성
- 전남도, '2026학년도 국립의대 신설 정원 200명' 건의
- 광양시, 스마트행정 구축 위한 잰걸음
- 전남도, 사회적경제 이끌 우수 기업 발굴
- 정인화 광양시장, 국고 확보 활발
- 생성 AI와 대화할 때 회사정보나 저작물 제작은?
- 김영록 지사, "읍면단위 국지성 호우 피해 대비해야"
- 'WE THE ROSE' 곡성세계장미축제 17일 '개막'
- 전남 구례·곡성에 살기 좋은 전원마을 '지역 활력 타운' 조성
- AI 행정 앞서가는 곡성군, AI-IoT 기반 건강관리사업 추진
- AI 시대에도 전통주 위상 높인 '숙희59'
- 전국 지자체 AI 안내 경쟁…순천은 어떻게 다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