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퇴출당한 중국 화웨이가 비밀리에 하버드 등 미국 대학에 연구자금을 지원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블룸버그는 2일(현지시간) 화웨이가 미국의 비영리 전문 학회 산하 옵티카 재단을 통해 미국의 통신, 광학, 레이저 분야 연구를 후원해 왔다고 보도했다. 화웨이는 이 재단이 주관하는 대학 연구 대회의 유일한 상금 제공자였다.
화웨이는 2022년부터 하버드를 비롯해 미국 최고 대학을 포함한 전 세계 대학의 과학자에게 연구 수백건을 모았으며, 수십개의 프로젝트에 수백만달러를 지원해 왔다.
화웨이와의 협력은 미국에서 금지됐지만, 일부 최고 대학은 이 사실을 모르고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이 재단의 비공개 문서에 따르면 화웨이는 자금 지원 기업 또는 프로그램 후원자라는 사실을 밝힐 필요가 없다. 또 계약 내용과 계약 주체 간 관계는 기밀로 간주된다.
대회 지원자와 대학 관계자, 심사위원도 화웨이의 자금 지원 사실을 몰랐으며, 상금이 재단에서 나온 것으로 믿었다고 털어놨다.
블룸버그는 이번 사례가 화웨이가 국제 연구 자금 조달의 중심으로 남아있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 단체의 연구 결과에는 '글로벌 통신망을 위한 해저 및 우주 기반 솔루션'과 '고감도 광학 센서 및 감지기' 등 국방 및 상업적 관련성을 가진 연구도 포함돼 있다고 지적했다.
화웨이 대변인은 “회사와 옵티카 재단이 전 세계적인 연구를 지원하고 학술적 소통을 촉진하기 위해 이 경쟁 과정을 만들었다”라며 “단순 홍보 행위로 보이지 않기 위해 화웨이의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을 뿐 악의는 없었다”라고 밝혔다.
리즈 로건 옵티카 CEO는 "미국 기업을 비롯해 일부 기부자들은 익명을 유지하길 원한다"라며 "이런 관행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라고 해명했다. 그는 화웨이의 기부금이 외부 법률 자문을 거쳐 재단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