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3AM 회원사 현황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G3AM 회원사 현황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내에서 첨단항공교통(AAM)의 표준을 개발·유지·관리하고, 사실표준화를 추진하는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가 설립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서울 롯데월드타워 Sky31 컨퍼런스 홀에서 AAM 분야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 'G3AM(Global Association for Advanced Air Mobility)'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출범 기념 컨퍼런스의 기조연설자로 존스컬 워커 국제표준화기구 무인항공기시스템 의장이 등장했다.

이어 대한항공이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실증 성공사례를, 한화시스템과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차세대 전기추진 수직 이착륙 비행체(eVTOL) 및 미래 항공 기체를, 이동통신 3사에서 AAM 사업 추진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AAM은 단거리 중심의 도심항공교통(UAM)과 중·장거리 중심의 지역 간 항공교통(RAM)을 포괄하는 미래형 교통수단이다.

AAM은 인공지능(AI), 이동통신, 데이터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기 때문에 상호운용성·신뢰성·지속가능성 등을 위한 국제표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G3AM은 정보 공유체계, 교통관리 및 운항통제, 필수 항행 성능 등 여러 분야에서 사실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해 국내 전문가가 주도적으로 설립한 국제기구다. AAM 생태계 관련 산업은 아직 태동기 단계이므로, 국제 표준화 주도권 선점의 적기라는 설명이다.

창립 회원으로는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파인브이티로보틱스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현대자동차 ▲이동통신3사 등 AAM 관련 핵심 국내 기업 63개와 AAM 분야 다국적 기업 ▲원스카이(미국) ▲스카이포트(영국) ▲파디나그룹(미국) ▲ANRA테크놀로지스(미국)가 참여했다. 이 밖에 미국의 조비애비에이션과 독일의 볼로콥터에서 회원가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영수 과기정통부 국장은 “첨단항공교통 분야는 디지털 기술 표준을 통해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영역”이라며 “G3AM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사실표준화기구로 자리 잡아, 첨단항공교통 기술 발전과 생태계 조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