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부는 21~22일 서울에서 열리는 인공지능(AI) 정상회의에 앞서, AI과 관련된 위험을 줄이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기업에 AI를 책임감 있게 개발할 책임을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19일(현지시간) 서울 AI 서밋에 앞서 “이번 서울 AI 정상회의에서 AI 모델의 안전에 대해 참가국들과 기업들이 뜻을 모아줄 것을 기대한다”라는 영국 정부의 입장을 보도했다.
미셸 도넬런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은 “합의를 위한 중개가 이뤄질 것”이라며, 안전한 AI를 위한 규제 수준을 국가 간에 합의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했다.
이번 행사는 영국이 글로벌 AI 무대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추진하는 행사다. 지난해 11월 열린 첫 행사에는 많은 국가들이 참가했으나, 2차 프랑스 회의에 앞서 중간 점검 격으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지난해처럼 큰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영국이 혼자 열을 올리는 모양새다. 영국은 “이번 회의에선 AI와 관련된 위험을 줄이는 데 새로운 노력을 기울이고, 기업들에게 좀더 AI를 책임감 있게 개발할 책임을 부과할 것”이라고 미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도 했다.
영국 리시 수낙 총리는 ‘AI 안전’ 문제를 아예 자신의 정치적 성과의 일부로 삼으려고 한다는 평가다. 특히 이번 서울 회의는 중국, 미국, 인도, 캐나다 등 5개국 대표가 참석하는 고위 장관급 회담이라는 점에 무게를 싣고 있다.
그러나 각국 참가자들은 AI 규제에 대해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어,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영국도 자국내 주요 AI 기업이 있기 때문에, 빠른 규제 기준 설립을 원하지 않는 편이다. 반면 유럽연합(EU)은 이미 올해 초 AI 법을 통과시켰다. 또 미국은 지난해 이미 강력한 행정 명령을 발동했다.
영국의 도널렌 장관은 “영국 정부는 우선 AI로 인한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를 먼저 파악하고, 지난해 블레츨리 회의 등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장려한다”라며 점진적 접근 방식을 옹호하고 있다.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AI 안전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해외 사무소를 설치하기로 한 것도 그런 의도다. 도널렌 장관은 "우리는 혁신을 지지하고 지원하고자 한다"라며 "항상 약간의 접근 방식의 차이는 있을 것이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공통점"이라고 밝혔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