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시진핑 국가주석의 정치 사상을 담은 대화형 인공지능(AI) 모델을 출시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가 정지척 사상을 강요하고 통제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2일(현지시간) 중국 인터넷 규제기관인 사이버공간관리국이 시진핑 국가주석의 정치 철학에 기반한 자체 대형언어모델(LLM)을 출시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이 모델은 이른바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이 핵심 콘텐츠로 담겨 있다. 정치, 사회, 경제 등 모든 측면에 대한 시 주석의 지시와 방침을 포함하고 있는 이 사상은 2018년 중국 헌법에도 명시됐다.
모델은 시진핑 주석이 직접 쓴 것으로 알려진 12권 이상의 책 등 정부의 공식 견해에 부합하는 텍스트를 바탕으로 훈련됐다. 또 질문에 대한 답변, 보고서 및 정보 요약, 중국어와 영어 번역 등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답할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사이버공간관리국은 생성 AI에 대해 '사회주의 핵심 가치를 구현할 것'과 '국가 권력을 전복하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챗봇은 상업적 출시 이전 검열을 통과해야 한다. 서구의 주요 AI 모델을 사용하기 불가능한 것이 이 때문이다. 민감한 주제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채팅을 중단하는 식의 장치도 마련돼 있다.
중국 당국은 "이 AI 모델은 엄선된 지식 기반으로 구축됐으며, 폐쇄형 소스이기 때문에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 LLM은 중국 사이버공간관리국의 연구소 서버에만 배포되었으며, 초대받은 사용자에해 내부 테스트가 진행 중이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