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의 주요 기술기업 12곳이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재무 신고서를 통해 자사의 인공지능(AI) 리스크를 경고했다. 여기에는 평소 만병통치약처럼 AI를 광고하던 모습과는 완전히 다른 내용이 담겨 있어 눈길을 끈다.

블룸버그는 4일(현지시간) SEC에 제출된 각 12개 주요 기업의 정기 보고서 중 '위험 요소(risk factors)'에 담긴 내용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메타는 자사의 AI가 선거 기간 동안 잘못된 정보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반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AI 학습 및 출력과 관련해 저작권 소송에 직면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오라클은 자신들의 AI 제품이 경쟁사만큼 잘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위험 요소 섹션은 주주 소송을 예방하기 위해 잘못될 수 있는 사항을 미리 설명하는 항목이다. 최근 몇년 동안에는 주로 기후 변화나 우크라이나 전쟁, 실리콘 밸리 은행 붕괴 등이 주로 꼽혔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AI와 관련한 내용이 주를 이뤘다. 구글은 AI 도구 사용이 "인권, 프라이버시, 고용 또는 기타 사회적 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말하며, 소송이나 재정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회사의 공식 입장과 모순되는 내용도 있다. 어도비는 포토샵 같은 프로그램이 크리에이티브 전문가를 살릴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올해 초에는 AI의 확산이 인력과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를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는 경고를 추가했다.

이런 경고는 때로는 현실이 되기도 한다. 엔비디아는 2023년 초부터 AI의 오용에 대한 우려가 GPU 판매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는데, 실제로 중국에 이어 중동 지역 판매가 금지됐다.

이 밖에도 팔로 알토, 델, 우버 등이 올해 AI를 위험 요인으로 추가했다.

애덤 프리처드 미시간대학교 로스쿨 ​​기업 및 증권법 교수는 "기업들의 위험 공시에는 '군집화 현상'이 두드러진다"라며, 많은 기업이 다른 회사와 비슷한 내용을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즉 여러 회사가 특정한 위험을 공시하고 있는데, 한 회사만 그렇지 않으면 투자자들로부터 해당 위험을 숨기거나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법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