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이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중동 지역에 대한 대규모 인공지능(AI) 가속기 선적 허가를 늦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동 국가들이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반도체 수입량을 늘리는 가운데 중국 기업이 이들 국가의 데이터센터에 접근할 가능성을 우려한 조치라는 해석이다.

블룸버그는 30일(현지시간)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미국 정부가 최근 엔비디아와 AMD의 아랍에미리트(UAE)·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 등 중동 국가에 대한 최신 AI 칩의 대규모 판매 라이선스 발급을 늦추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이 지역의 AI 개발에 대한 국가 안보 검토 차원이다.

검토가 얼마나 걸릴지 불확실할 뿐 아니라 규모에 대한 기준도 분명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엔비디아와 AMD 이외에도 인텔과 스타트업 세레브라스가 AI 칩을 생산하고 있다.

또 미국 정부는 중국 기업이 중동의 데이터 센터를 통해 AI 반도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 예로 사우디가 최근 중국 레노버와 함께 수도 리야드에 연구개발 센터를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조치는 첨단 반도체의 해외 수출 방식에 대한 포괄적인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시간을 벌고, 동시에 아랍권을 압박하기 위한 카드라는 분석이다.

미국 상무부는 이날 “국가 안보를 지키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최첨단 기술과 관련해 광범위한 실사를 통해 전 세계로 첨단 반도체를 판매하려는 기업들의 허가 신청서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라고 발표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 기업이 제3국을 통해 자국 기술에 접근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10월 중국를 비롯해 소수의 해외 적국들을 겨냥했던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에 중동 역시 일부분 포함했다.

이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등 40여개국은 첨단 반도체 및 장비를 수입하기 위해 미국 정부의 별도 허가를 받아야 한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