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인공지능(AI) 디자인 확산 전략' 발표와 함께 디자인 연구에 특화된 소형언어모델(sLM)을 개발하겠다고 9일 밝혔다.

전략 4대 핵심 과제는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핵심 경쟁력 확보 ▲신시장 창출 ▲AI 디자인 제도․규범 설계 등으로 추진된다. 목표는 디자인기업 AI 도입률 50%, AI 디자이너 1만명, AI 디자인 혁신기업 500개이며, 현재는 37%에 불과한 활용율을 6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특히 디자인진흥원 중심으로 트렌드 분석, 디자인 유사도 검색, 디자인 지식․연구 특화 소형언어모델(sLM) 등 3대 디자이너 지원 AI 서비스 개발에 착수한다. 

2025년에는 소비재 디자인, 최적 공학 부품 설계, 제조공정 설계 자동화, 디지털 디자인 자동생성 등 AI 디자인 활용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4대 분야 중심으로 3년간 20개 AI 디자인 모델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핵심 경쟁력인 기술·기업·데이터·인재 확보를 위해 AI 디자인 기술로드맵을 발표하고, 25년부터 R&D를 지원한다. 6대 권역별로 디자인창작랩을 구축하고, 기업 맞춤형 지원체계와 금융지원 방안을 강구한다.

디자인 아카이브, 한국 전통 디자인, 색채·소재·마감(CMF), 휴먼데이터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K-디자인 빅데이터 허브를 구축한다. 

교육 분야에서는 AI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디자인-AI 융합 전공 트랙 5개를 개설한다.  AI 디자인 툴 활용 등 온라인 교육용 ‘디자인 그라운드’를 운영한다.

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원으로는 산업 분야별 생성AI를 활용한 협업 프로젝트 150여 개를 선정하여 지원한다. 활용-공급기업 간 매칭을 위한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고, 컨설팅 등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시대적 변화에 따른 제도 규범에 대해서도 밝혔다. 올 하반기에 민관합동 디자인 제도 개편 논의기구를 구성하고, 산업디자인법 등 관련 법령을 선제적으로 재개정할 계획이다. 또 일본, 대만,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 세계 각국의 디자인 진흥기관과 AI 디자인 아시아 이니셔티브를 출범하는 등 AI 디자인 정책 및 규범 관련 국제적 공조 방안을 강구한다.

안덕근 장관은 9일  LG사이언스파크 내 전시·체험 공간 'Gen AI 스튜디오'에서 디자인 기업과 전문가와 함께 의견을 교환하고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안덕근 장관은 “AI 시대에 우리 디자인기업과 디자이너들이 누구보다 앞서 AI를 적극 도입하고 활용하여 세계 최고의 기업과 인재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라며 “정부는 K-디자인이 AI를 활용하여 새롭게 도약할 수 있도록 오늘 발표한 전략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