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기업 전용 대형언어모델(LLM)로 유명한 스타트업 코히어 몸값이 날로 치솟고 있다. 엔비디아에 이어 AMD나 오라클, 후지츠 등 빅테크들이 잇달아 투자자로 참가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22일(현지시간) 코히어가 시리즈 D 펀딩 라운드에서 55억달러(약7조6000억원)의 기업가치로 5억달러(약 7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투자는 캐나다의 연금 투자 운용사인 PSP 인베스트먼트가 주도했으며, 엔비디아, AMD, 오라클, 세일즈포스, 시스코, 일본 후지츠 등이 참여했다. 코히어는 지난해 6월에도 2억7000만달러(약 3700억원)를 모금한 바 있다. 당시 22억달러 기업가치에서 55억달러로 1년 새 3배 가까이 상승했다.

캐나다 기업인 코히어는 2019년 트랜스포머 논문의 저자인 에이단 고메즈 등 구글 전 연구원들에 의해 설립된 회사다. 오픈AI 등 다른 회사들과 달리, 일반 소비자들을 위한 AI 챗봇을 개발하지 않고 기업 고객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업용 AI에 집중한 덕분에 최고 성능의 대형언어모델(LLM)을 구축, 훈련, 실행하기 위한 비용이 경쟁사보다 저렴하다는 게 강점으로 꼽힌다. 

특히 지난 4월 선보인 코히어 '커맨드R+'는 많은 기업들로부터 주목 받았다.

'커맨드 R+'는 검색 증강 생성(RAG)을 주력으로 하는 모델로, 기업 사용자가 내부 데이터 검색이나 비즈니스 절차 자동화 작업을 원활하게 처리하도록 설계된 특화 AI로 알려졌다. 12만8000 토큰까지 프롬프트를 처리할 수 있어 긴 비즈니스 문서나 코드 파일도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0개 언어를 이해하며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 정보를 활용해 지식을 증가할 수 있다. 타사 시스템들과도 통합이 가능하다.

코히어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유일하게 협력하는 오픈AI와 달리,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과 협력을 맺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 볼 요소다. 오라클로부터는 투자도 유치했다.

매출도 증가하고 있다. 올해 3월 말 기준 연간 매출은 3500만달러(약 500억원)로, 지난해 말 1300만 달러보다 3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코히어는 올해 안에 직원 수도 현재의 두배인 약 500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물론 오픈AI나 앤트로픽 등 최첨단 모델경쟁을 벌이는 곳과는 비교할 수준이 아니다.

오픈AI의 기업가치는 약 900억달러(약 125조원)에 달한다. 앤트로픽의 기업가치도 최근 200억달러(약 28조원)를 기록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