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솔트룩스)
(사진=솔트룩스)

인공지능(AI) 전문 솔트룩스(대표 이경일)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추진하는 ‘2024년 초거대 AI 기반 서비스 개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AI 기반 특허 심사 업무 지원 서비스 개발에 나섰다고 25일 밝혔다. 

이 사업은 특허 심사 업무에 초거대 생성 AI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솔트룩스가 주관하고 지식재산권(IP) 전문 젠아이피가 협력하며 진행 기간은 올해 12월까지다. 

특히 솔트룩스는 자체개발 언어모델 루시아를 활용, 개발 기간 및 리스크는 줄이고 시스템 안정성과 품질은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에 특허 관련 법률, 심사 기준, 심판편람, 업무 매뉴얼 등 도메인 데이터를 혼합해 특허 심사 업무에 최적화한 모델을 생성할 계획이다.

특화 프롬프트 설계 단계에서는 각 유즈 케이스마다 200~300개의 미세조정 데이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프롬프트 설계 담당자뿐 아니라 유관부서 담당자와 지식재산권 분야 전문가까지 참여한 3중 검증 시스템을 통해 답변의 품질을 향상한킨다는 설명이다. 

결과적으로 절차 및 법에 규정된 지식 정보를 제공하는 특허심사 AI 챗봇뿐만 아니라 심결문 검색, 유사-선행 특허 검색, 의견서 요약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언어모델을 손쉽게 생성–관리-배포할 수 있는 노코드 방식 언어모델 관리 도구 ‘랭기지 스튜디오’로 최적의 LLM옵스 플랫폼을 구현, 관리의 편의성까지 극대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LLM 도입 방법론과 노하우를 적용하고 해당 분야 전문가들과 긴밀히 협력해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