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전문 솔트룩스(대표 이경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2024년 지역 자율형 디지털 실증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AI 기반 어장 공간정보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활용 사업’을 수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수산양식 산업 전반에 데이터 분석 및 활용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하고 솔트룩스, 국립목포대학교, 유에스티21 등이 공동 수행한다.
세부 사업 범위는 ▲수산 양식 지능형 플랫폼 구축 ▲AI 기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구축 ▲실증 및 서비스 사업화 지원 등으로, 2028년 12월까지 총 365억원을 투입한다.
솔트룩스는 '대형멀티모달모델(LMM) 구현 알고리즘 및 엔진 개발’과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및 서비스 지원’을 담당한다. 도서 420만권 분량 한국어 데이터를 학습한 대형언어모델(LLM) ‘루시아’와 언어모델 구축 솔루션 '랭기지 스튜디오', 인지검색 솔루션 '서치 스튜디오', 지식관리 솔루션 ‘날리지 스튜디오’ 등을 활용할 예정이다.
어민들이 수산양식과 관련해서 필요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맞춤형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개발 단계에서는 어장 공간 이미지 설명 모델 개발, 어민 특화 음성 인식 모델 개발, 어장공간정보 검색증강생성(RAG) 기반 LMM 개발을 진행한다. 어민들의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다양한 유형의 유즈케이스를 발굴, 양식 논문과 보고서, 질의응답 데이터 등 수산양식 관련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할 계획이다.
LMM 기반 AI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에는 효율적인 수산양식 활동에 도움이 되는 AI 기반 사회적 경제적 예측 모델과 이종데이터 동기화 알고리즘을 적용, 서비스 API를 구현해 향후 효율적인 사업화를 지원한다.
특히 고연령층이 많은 어민들을 고려해 자연어 처리 기반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멀티미디어 형태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프롬프트 서비스를 구축한다고 설명했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수산 양식장의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뿐 아니라, 이상기후와 해양생태계 변화 등의 불확실성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며 “다양한 도전에 직면한 수산 및 양식산업의 혁신과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