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엔비디아가 아랍에미리트(UAE)의 국영 기업 G42와 파트너십을 맺고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기후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며칠 전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가 G42와 AI 연구소 두곳을 설립한다고 발표하는 등 다음 주 UAE 대통령의 방미를 앞두고 양국이 AI 협력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블룸버그는 20일(현지시간) 엔비디아와 G42가 아부다비에 기후 기술 연구소를 설립, 전 세계적으로 날씨 예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AI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한다고 보도했다.

두 회사는 엔비디아의 지구 디지털 트윈인 '어스-2(Earth-2)' 플랫폼을 기반으로 날씨 예보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AI를 개발한다. 모델 구축을 위해 100페타바이트 이상의 지구물리학 데이터 자산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서 이름을 딴 어스-2 기후 기술 연구소는 아부다비에 설립, 연구 개발의 허브 역할을 하게 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첨단 가속 컴퓨팅 및 AI 기술을 사용해 환경 솔루션을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지난 17일에는 MS가 G42와 협력, 아부다비에 AI 센터 두곳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식량이나 기후 등 현안을 해결하는 데 AI 기술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G42가 참여한 UAE의 펀드 MGX는 MS와 블랙록이 추진하는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에도 참가하게 됐다. 오픈AI의 투자에도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셰이크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은 24일 워싱턴을 방문, 조 바이든 대통령을 만날 예정이다.

백악관은 양국 대통령이 중동 지역 안보 문제와 첨단 기술, AI 개발 등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UAE 대통령의 외교 고문인 ​​안와르 가르가시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주요 기업 임원들을 만날 예정이며, 방문의 주된 초점은 경제와 AI 등의 분야 협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련의 협력 안은 UAE와 G42가 중국과의 관계를 단절한다고 밝힌 이후 등장한 것이다. 

UAE는 석유 경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AI 등 차세대 기술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MS, 오픈AI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UAE가 중국과 관계를 유지, 기술 유출이 우려된다고 경고했으며 엔비디아 최첨단 칩 수출도 금지했다. 이에 따라 G42는 중국 투자를 회수하고 내부 장비도 교체하는 등 중국과의 관계를 정리했다.

이후 UAE에는 엔비디아의 최신 칩 수출이 허용됐으며, 기업 파트너십 강화에 이어 대통령의 미국 방문까지 성사됐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