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가 'M360 APAC'에서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KT)
김영섭  KT 대표가 'M360 APAC'에서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KT)

김영섭 KT 대표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대규모 파트너십에 대해 빠른 기술 혁신에 따라 빅테크와의 협력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AI) 기술과 ICT의 융합을 이뤄, 통신사에서 AICT 회사로 진화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섭 대표는 1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서울에서 개막한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의 'M360 APAC' 기조연설에서 '협력 기반의 자주적 AI 모델 형성을 위한 AICT 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한 발표를 진행했다.

현재 AI가 통신과 헬스케어, 교통, 제조, 물류 등 모든 분야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KT 역시 AI 스마트 의료 시스템을 통한 원격 진료와 화상 진단 서비스, AI 영상 분석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AI 서비스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통신사들이 전통적인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에서 AI 서비스 제공자로 역할을 확장하고 있음을 나타낸다”라고 설명했다.

다가올 AI 일상화 시대에는 통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I가 모든 곳에 존재하는 시대에 맞춤형 서비스를 제대로 실현하려면 초광대역·초저지연을 지원하는 통신망이 필수적"이라며 "이를 위해 통신사들은 6G와 같은 차세대 통신망으로 진화를 계속해서 주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KT는 "단순한 디지털화를 넘어 AI 전환을 통해 AI 통합으로 고객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통신사는 빅테크, 신생 스타트업, 글로벌 통신사와 적극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이 핵심 역량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소프트(MS)와 AI 및 클라우드 분야에서 대규모 파트너십을 맺은 것에 무게를 실었다. 양사는 5년간 수조원 규모의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형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연구 개발 및 인재 양성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에서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소버린 AI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각 기업이 데이터 주권과 AI 기술의 소유권을 가지면서 특정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글로벌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설명이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도 영상 메시지를 통해 "AI가 개인과 조직, 산업 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며 "KT의 전문성과 MS의 기술력을 결합, AI와 클라우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M360 APAC 행사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국내에서 열렸으며, KT는 호스트 스폰서를 맡았다. 

김영섭 대표 외에도 마츠 그란리드 GSMA 사무총장, 김우준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사장 등이 기조연설에 나섰으며,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축사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