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실적 발표를 통해 빅테크들이 밝힌 올해 지본 지출이 2000억달러(약 276조원)를 돌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게다가 이들은 내년에는 투자를 더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1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 아마존, 구글 등 4개 빅테크가 실적 발표를 통해 총 2090억달러의 자본 지출을 예고했다는 시티그룹의 보고서를 인용 보도했다.
빅테크들은 일제히 생성 AI로 인해 서비스 성능이 향상되고 운영 비용이 절감된다며 투자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지난 분기 빅 4의 투자액은 약 600억달러(약 83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62% 이상 증가한 수치다. 올해 2090억달러를 지출하면, 지난해보다 42%가 늘어난다.
투자금 대부분은 데이터센터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시티그룹은 비중이 80%까지 늘어날 것으로 봤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 MS와 구글은 투자 확대가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을 가속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MS는 AI에서 얻은 수익이 연간 100억달러(약 13조8000억원)에 도달하기 직전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브렌트 틸 제프리스 분석가는 "100억달러라는 구체적인 수치를 공개한 것은 흔치 않은 사례"라며 "그만큼 MS가 AI의 효과를 입증하려고 서두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나머지 회사들은 구체적인 수치보다는 애매한 표현으로 일관했다고 전했다.
메타는 AI가 광고 수익을 높이고 사용자 참여를 개선했다고 말했으며, 아마존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AI 사업이 100% 이상의 비율로 성장하고 있다"라고만 밝혔다.
구글은 검색 엔진의 새로운 생성 AI 기능이 참여를 늘리고 사용을 촉진하고 있으며, 현재 제작한 소프트웨어의 4분의 1이 AI에 의해 작성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됐다는 것을 사례로 소개했다.
이런 투자에 대해 미국 전문가들이 '흥청망청'이나 '사치스러운'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짐 티어니 얼라이언스번스타인 파트너는 "투자의 실제 혜택은 무엇인가"라고 지적하며 "2025년에는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더 눈에 띄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빅테크들은 현재 지출을 줄이는 것은 생성 AI 초기 경쟁에서 탈락을 의미하며, "지나친 투자가 적은 투자보다 낫다"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특히 앤디 제시 아마존 CEO는 이번 주 실적 발표에서 "AI는 일생에 한번 찾아올 기회"라며 내년에도 강력한 투자 증가를 예고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