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오픈AI가 미국의 인공지능(AI) 인프라 강화와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안했다.

CNBC는 13일(현지시간) 오픈AI가 워싱턴 DC에서 발표한 청사진을 통해, 미국의 AI 경제 구역 설정, 민간 투자 유치, 정부와의 협력 강화를 통한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AI 중심 경제 구역'을 주 정부와 연방 기관 차원에서 만들어 AI 관련 인프라 구축의 허가 절차 및 기타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다. 즉 정부에서 데이터센터 건설을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또 데이터센터는 물론 전력 시설 공급에 초점을 맞췄다. 풍력 및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원자로 도입도 강조했다.

이 계획은 '국가 전송 고속도로법'을 통해 기존의 인프라 구축 절차를 개선하고, 급증하는 AI 수요에 맞춰 전력망과 네트워크 연결을 강화하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미국 내 데이터센터 확장과 전력망 현대화를 위해 미 해군의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를 민간 부문에서 활용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크리스 리한 오픈AI 글로벌 정책 부문 부사장은 미국 중서부와 남서부 지역이 향후 AI 투자 중심지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하며, 이 지역들은 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우리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라며 "경쟁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중국의 AI 발전을 견제하고, 미국 내 경제적 이익을 키워야 한다는 말이다.

이를 위해 미국을 중심으로 'AI 동맹'을 구축, 기술력과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협력 네트워크를 제안했다. 여기에는 최근 교류가 늘어난 중동 등이 포함됐다.

특히 이번 계획은 시기 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기존 AI 관련 정책을 재검토하고, 특히 바이든 행정부의 AI 행정명령을 폐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오픈AI는 새 행정부와 협력할 수 있는 AI 인프라 및 정책 로드맵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