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딥마인드가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AI) 모델 '알파폴드3(AlphaFold3)'의 코드와 모델을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 이는 지난 5월 코드와 모델이 비공개 처리된 상태로 알파폴드3를 출시한 뒤 6개월 만에 이뤄어진 결정이다.
구글 딥마인드는 11일(현지시간) 알파폴드3의 코드와 모델 가중치를 비상업적 연구 목적에 한해 사용 가능하도록 깃허브에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
알파폴드3는 기존의 단백질 구조 예측을 넘어, 항체-항원 상호작용, RNA와 DNA와 같은 유전물질 및 이온과의 상호작용까지 예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백질을 넘어 다양한 생체 분자의 결합 구조를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신약 설계, 유전체학 연구, 재생 가능 물질 개발 및 탄력적인 작물 개발 등 폭넓은 생명 과학 분야에서 AI의 도움을 받아 혁신적인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번 공개로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환경에서 알파폴드3를 커스터마이징해 다양한 생체 분자 예측 실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알파폴드3의 오픈 소스 전환은 공개 이후 6개월 만에 이루어진 조치이다. 이전에는 딥마인드가 제공하는 '알파폴드 서버'를 통해서만 AI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정해진 단백질 유형과 수에만 접근이 가능해 연구자들이 특정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새로운 단백질 조합을 실험하는 데 제한이 있었다.
오픈 소스 전환 배경에는 학계의 지속적인 비판이 있었다. 구글 딥마인드는 지난 5월 네이처에 알파폴드3 개발 논문을 발표하며 코드와 모델을 비공개로 유지, 학계로부터 투명성 부족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또 이전 버전인 알파폴드2가 오픈 소스로 공개된 점도 비교의 대상이 됐다.
딥마인드는 자회사인 이소모픽 랩스가 상업적인 신약 개발에 알파폴드3를 활용하고 있어 접근을 제한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번에 소스를 공개한 구글 딥마인드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를 통해 "오픈소스 준비와 실험에 몇달이 걸렸다"라며 학계의 인내심에 감사의 뜻을 표했다.
한편,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의 CEO와 존 점퍼 선임 연구원은 알파폴드 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