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딥마인드가 올해 안으로 단백질 생성 인공지능(AI) 개발한 신약으로 임상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데미스 허사비스 딥마인드 CEO는 21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 참석, 자회사인 이소모픽 랩스(Isomorphic Labs)와 올해 말까지 AI가 설계한 약물로 임상 시험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2021년 딥마인드에서 분사한 이소모픽 랩스가 임상 시험에 들어가는 것은 처음이다. 지난해 노벨상을 수상한 허사비스 CEO의 단백질 생성 AI 알파폴드를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알파폴드로 간세포암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설계하고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후 1여년 만에 임상 시험을 논하는 단계까지 진행했다. 허사비스 CEO는 "약물 발견 과정을 기존 10년 이상에서 몇주 또는 몇달로 단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단백질 생성 AI로 만든 신약을 임상 시험에 도입하는 것은 처음이 아니다. 생명공학 스타트업 인실리코 메디슨은 만성 폐질환인 ‘특발성 폐섬유화증’을 치료하기 위해 AI가 개발한 ‘INS018_055’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임상 2상 시험에 도달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인실리코가 사용한 모델은 신약 개발 플랫폼 ‘파마.AI(Pharma.AI)’로, 엔비디아의 '바이오네모(NeMo)'를 기반으로 구축했다.
한편, 허사비스 CEO는 이날 인공일반지능(AGI)에 대한 질문에도 답했다. 아직까지 AGI에 도달하려면 몇년이 걸릴 것이라는 내용이다.
"아마도 큰 돌파구가 몇개 필요할 것"이라며 "이제까지 이룬 것이 아무것도 아닐 수 있고, 여기서부터 확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빠진 것이 몇가지 있을 것 같고, 아마 5년 이상의 기간이 걸릴 것 같다"라는 설명이다.
그가 말하는 AGI가 오픈AI가 말하는 초지능(ASI)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허사비스 CEO 역시 목표는 AGI를 개발하는 것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구글, 단백질 생성 AI '알파폴드3' 출시 반년 만에 오픈 소스 공개
- 구글 딥마인드, '알파폴드 3' 공개..."단백질 생성 넘어 생체 분자 예측으로 확장"
- 구글, 단백질 생성 AI로 제약사들과 4조 규모 계약
- 튜링상, 강화학습 선구자 2명에게 돌아가
- 구글의 AI 신약 스타트업 이소모픽, 8800억 모금..."돈은 충분하지만 인재 영입에 도움"
- FDA, 신약 승인 평가에 오픈AI 기술 활용 검토
- MS, 과학 연구 가속하는 엔터프라이즈 플랫폼 '디스커버리' 출시
- 구글 자회사 이소모픽, AI 설계 신약 인체 임상시험 초읽기
- AI 개발 신약이 10년 넘게 등장하지 않은 이유는..."이제부터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