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전라남도)
(사진=전라남도)

전라남도가 지난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내년 상반기 예정된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에 집중하겠다고 28일 밝혔다.

분산에너지는 ‘지역에서 생산한 에너지를 그 지역에서 소비한다’는 것으로, 중앙집중적 에너지 수요 공급망 형태에서 벗어나 지역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에너지 분권’을 강화하려는 의도다.

분산에너지가 도입되면 에너지를 인근 수요처에 바로 공급하고 소비함으로써 송전 비용을 낮추고, 분산에너지 사업자 간 경쟁을 통해 전력시장의 효율성과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여 신재생에너지 공급 여력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남은 풍부한 재생 에너지 자원을 보유했으며 전력 자급률이 높아 다양한 분산에너지 사업모델을 구현하는데 유리해, 정부가 구상하는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의 롤 모델이자 최적지로 손꼽힌다고 설명했다.

지난해에는 일찌감치 분산에너지 연구에 착수, 전남의 다양한 에너지원과 지역 특성을 반영한 ‘개 시군 7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김명도 한국에너지공단 팀장은 “분산에너지 성공을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장치(ESS)의 안정적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세밀하게 설계, 대비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전남 측은 “충분한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2025년 상반기 산업통상자원부의 특화지역 공모에 맞춰 전남에 가장 많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 최종 선정되도록 차질 없이 준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재승 기자 energy@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