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세부에서 열린 글로벌 오프사이트에 모인 한국·일본·미국 3개국 법인 직원 (사진=올거나이즈)
지난해 9월 세부에서 열린 글로벌 오프사이트에 모인 한국·일본·미국 3개국 법인 직원 (사진=올거나이즈)

대형언어모델(LLM) 솔루션 전문 올거나이즈(대표 이창수)가 올해 2025년 '에이전트 RAG(Agent RAG)' 출시를 통해 한차원 높은 성능의 검색 증강 생성(RAG)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창수 올거나이즈 대표는 "2024년은 실제 업무 현장에서 생성 AI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목표로 각 기업의 특성에 맞게 생성 AI 활용을 시작한 해였다"라며 "2025년에는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한 현업에서의 생성 AI 활용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AI가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AI 에이전트’가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고, 이에 주어진 질문에 답변하는 것을 넘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다양한 방식을 통해 복잡한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AI 에이전트의 개념을 RAG 기술에 접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존 RAG 솔루션은 일방향·일회성으로 답을 내고 후속 작업을 이어가는 것이 어렵지만, 올거나이즈가 선보일 에이전트 RAG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 최적의 답을 주는 것을 목표로 ‘작업 계획-하위 에이전트 및 도구 할당-실행의 과정’을 사내외 데이터를 활용해 능동적으로 수행한다. 에이전트가 최적의 답에 가까운 후보들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게 돕고, 피드백을 받아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이창수 올거나이즈 대표(사진=올거나이즈)
이창수 올거나이즈 대표(사진=올거나이즈)

올거나이즈는 에이전트 RAG와 함께 온프레미스로 구축하는 산업 특화 소형언어모델(sLM) 역시 고도화를 거쳐 새로운 버전으로 출시할 예정이며, 알리 플랫폼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2025년 말에는 일본 도쿄거래소 상장도 계획대로 추진한다.

이 대표는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AI는 모든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계산기가 아닌 엑셀을 쓰는 것이 당연해진 것처럼 AI 에이전트와 함께 실시간으로 일하는 것이 당연한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올거나이즈는 새롭게 선보이는 ‘에이전트 RAG’를 통해 이러한 AI 변화의 중심에 서고 싶다”라고 말했다.

한편, 2017년 설립된 올거나이즈는 기업 맞춤형 인공지능(AI)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전세계 모든 사무직 노동자의 삶을 AI로 혁신한다'라는 비전을 구현한 ‘알리(Alli) 플랫폼’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현재 국내를 비롯해 미국, 일본 등에서 300개 이상의 기업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2024년 NH투자증권, 한화생명 등 금융 기업과 공공기관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을 중심으로 신규 기업 사용자를 유치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