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준 구름 이사(왼쪽부터), 신동희 YBM 부장, 이재상 천재교과서 상무, 박정과 천재교과서 대표, 조희석 천재교과서 이사, 박찬용 아이헤이트플라잉버그스 대표, 전윤택 에누마코리아 대표 등이 기자회견에서 입장을 전하고 있다.
김형준 구름 이사(왼쪽부터), 신동희 YBM 부장, 이재상 천재교과서 상무, 박정과 천재교과서 대표, 조희석 천재교과서 이사, 박찬용 아이헤이트플라잉버그스 대표, 전윤택 에누마코리아 대표 등이 기자회견에서 입장을 전하고 있다.

천재교과서 등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발행사들은 13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진행, 교육부의 AIDT 개정안에 대한 입장과 대응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2025년 AIDT 도입을 목표로 교과서 개발 기업들과 협력해 왔다. 이에 참여 기업들은 2년간 AIDT 개발을 진행해 왔다고 전했다. 특히 교육부는 협력 초기부터 “AIDT가 반드시 전면 도입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를 문서로 남겼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지난해 발표된 바에 따르면 AI 디지털교과서에는 일부 과목을 제외하거나 도입 시기를 미루는 방안이 검토됐다. 특히 국어와 기술-가정 과목의 AI 교과서 도입 계획을 취소하고, 사회와 과학 과목 교과서 도입 시기를 미루는 방안을 유력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무엇보다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도입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박찬용 아이헤이트플라잉버그스 대표는 “AIDT는 개인 맞춤형 학습을 통해 사교육의 격차를 줄여주는 역할”이라며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활용, 일부 학교만 이용하게 될 경우 기회의 불균형이 발생해 기존 취지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개정안은 현재 본회의를 통과한 상태며, 재의결 절차를 논의 중이다. 이 절차까지 완료된다면 헌법소원, 행정소송 등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박지영 천재교과서 AIDT 콘텐츠 총괄은 “AIDT 가이드라인에 따라 기획서를 수십차례 수정했다”라며 “개발 기간에 맞추기 위해 매우 과로한 상태였던 만큼, 자괴감이 드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학생 개인정보 및 데이터 관리 측면에서 엄격한 국제 표준 및 보안 기준을 충족하며 개발해 왔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교과서 의무 도입이 아닌 교육자료 선택 도입을 진행할 경우 해당 평가 기준이 모호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기술적으로도 기존 디지털교과서와 명확한 차별점을 가진다고 설명했다. AI를 도입할 경우 문제풀이에 대한 원인 분석 등 개인화 학습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특히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거나 학생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해 학습 방법을 제안하는 등 교육 평등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최초 참여를 알린 기업은 15곳이었지만 당일 기자회견에 최종 참석한 기업은 6곳이었다. 이에 대해 천재교과서 관계자는 “불참한 기업들도 교과서 적용 1년 유예는 절대 안 된다는 공통적 입장을 지니고 있다”라며 “참석 여부에 따라 의견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